한국의 신

한국의 신

고무신

고무신

한국의 상고시대의 신은 화(靴)와 이(履) 등의 한자(漢字)로 표기되는데, 상고시대부터 삼국시대를 통하여 신어 왔음이 쌍영총(雙楹塚) 벽화나 《》 <색복조(色服條)> 등에 나타나 있다.

화는 목이 긴 신으로, 방침(防浸) ·방한(防寒)에 적당하여 북방민족이 많이 착용한 신이고, 이는 운두가 낮은 신으로 남방민족의 신이었다.

그런데 한국에서 이 두 종류가 거의 상고시대부터 계속 혼용되었다는 것은 국토가 그다지 넓지 않다는 지리적인 조건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한국민족이 북방민족이라고 생각할 때 한국 고유의 신은 목이 긴 화였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海東繹史)》에 “고려의 이는 위(韋)로 발에 맞추어 만들어 신었고 묶지 않았으며 천자(賤者)는 우피(牛皮), 귀자(貴者)는 녹비(鹿皮)를 사용하였다”고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에 들어와서는 화보다 이를 많이 신은 듯하다. 이는 앞이 얕고 뒤가 높은 모양을 하며 일반서민은 혁리(革履)보다도 초리(草履)를 많이 신었을 것이다.

이는 재료에 따라 혜(鞋)·비(屝)·극(屐)·구(屨)·석(舃)·답(踏) 등이 있는데, 이러한 것은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전해졌으며, 조선시대에 와서는 종류와 명칭이 더욱 다양해졌다. 혜 종류의 신과 짚신 등은 개화기까지 사용되었으나 이후 근대화의 물결에 따라 서양신인 구두가 등장하였다. 또 1920년대부터는 고무신이 나와 당혜·운혜 등 혜와 짚신·미투리·나막신이 고무신으로 대용되기 시작하면서 점차 사라졌다. 또 이 때에는 고무신 외에도 경제화 즉 운동화가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 나타난 신을 크게 나누어 보면 목이 있는 화와 운두가 낮은 혜(鞋) ·이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재료면에서 보면 피혁제, 초 ·마제(草麻製), 포백제(布帛製), 유제(鍮製:놋쇠 제품), 지제(紙製), 목제(木製) 등을 들 수 있다. 화는 흑피화(黑皮靴)·협금화(挾金靴)·목화(木靴)·수화자(水靴子) 등이 있는데, 주로 왕이나 백관이 신었다.

조선시대의 남자들의 신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한국의 신 본문 이미지 1

① 흑피혜(黑皮鞋): (朝服) ·(祭服)에 착용하는 신이며, 목이 길고 검은 가죽으로 만들었다. 조선 후기에는 흑피혜 대신 목화를 착용하였다.

② 목화: 바닥은 나무이고 목은 천으로 되었으며, 검은 융(絨) 같은 천으로 겉을 씌우고 솔기에 홍색 선(襈)을 두른 반장화 같은 마른신이다. 조복 ·(公服)에 착용하였다.

③ 태사혜(太史鞋): 여인들의 혜와 같은 남자용 마른신의 하나로 가장자리에 헝겊이나 가죽을 대고 코와 뒤축에 흰 선문(線紋)을 새겨 놓았다. 이 신은 조선시대 사대부나 양반 계급의 고령자가 편복(便服)에 신었으며 한말에는 왕도 평상복에 착용하였다.

④ 발막신: 마른신의 하나로 상류계급의 노인들이 신었는데, 뒤축과 코에 꿰맨 솔기가 없고 코 끝이 넓적하며 가죽 조각을 대고 분을 칠했다. 발막이라고도 한다.

⑤ 짚신: 초·마제(草麻製)로 된 신이다. 초리(草履)는 짚신이고 마혜(麻鞋)는 미투리인데, 피혁제와 포백제 등의 화 ·혜가 발달하면서 천시되어 하천인의 신이 되었으나 정제품(精製品)은 사대부간에도 사용되었다.

여자들의 신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당혜(唐鞋): 형태는 지금의 고무신과 비슷하다. 당혜 ·궁혜(宮鞋) ·운혜(雲鞋) 모두 형태가 같고 안은 융 같은 폭신한 감을 쓰며 거죽은 여러 색의 화사한 비단을 배악비하여 만들었고 바닥에는 징을 군데군데 박았다. 궁혜는 궁중용이고 당혜는 양가집 부녀자들이 신었으며 운혜는 일반 여염집 부녀자들이 신었다.

② 진신: 형태는 혜와 같으나 가죽에 기름을 먹여 결어서 만들고 바닥에는 징을 쭉 둘러 박았기 때문에 징신이라고도 했다. 상류계급의 부녀자들이 신었다.

③ 미투리: 삼[麻]으로 만든 고운 신이고, 이와 비슷한 짚신은 짚으로 만든 거친 신이다. 지방에서는 반인급(班人級) 부인용이었으나 대개 서민급 이하의 부녀자들이 신었다.

④ 나막신: 나무로 곱게 만든 고급신으로 비올 때 주로 신었다.

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관련동영상

짚신제조과정 한국 고유의 대중적·실용적인 신발이다. 옛 농가에서는 농한기에 머슴들이 사랑방에 앉아 몇 십 켤레씩 짚신을 삼아 식구들의 수요에 충당하고, 시장에 내다 팔기도 했다. 오늘날에도 초상집 상제들은 짚신을 신는 풍습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