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 오가이

모리 오가이

[ Mori Ōgai , 森鷗外(삼구외) ]

요약 일본의 소설가·평론가·군의관. 19세기 후반 당시 신문학의 개척기였던 일본문단의 대표적인 작가의 한 사람으로 많은 업적을 남겼다. 평론집·역사물 등 다방면에 저술이 있다.
모리 오가이 사진

모리 오가이 사진

원어명 もり おうがい
출생-사망 1862 ~ 1922
본명 린타로[林太郞]
국적 일본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일본 시마네현[島根縣]
주요저서 《무희(舞姬)》(1890) 《기러기》(1915) 《아베 일족[阿部一族]》(1913)

본명 린타로[林太郞]. 시마네현[島根縣] 출신. 1881년 도쿄[東京]대학 의학부 졸업 후 독일에 유학하였다. 1888년 귀국 후 육군대학 교관을 거쳐 군의총감·의무국장 등을 역임하고 1916년 퇴역, 제실박물관장(帝室博物館長) 겸 도서관장·제국미술원장(帝國美術院長) 등을 지냈다.

이와 같은 경력과는 별도로 그는 독일유학 때부터 문학에 깊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당시 신문학의 개척기였던 일본문단의 대표적인 작가의 한 사람으로 많은 업적을 남겼다. 아문체(雅文體) 소설 《무희(舞姬)》(1890), 독일에서 귀국 후 발표한 번역시 《모습》(1889)은 일본문단에 낭만적인 정취를 불어넣었다.

1901년에 번역한 안데르센의 《즉흥시인(卽興詩人)》은 원작 이상이라고 높이 평가되었으며, 소설에서는 《기러기》 《아베 일족[阿部一族]》 《산쇼다유[山椒大夫]》 등 수십 편의 명작을 남겼다.

한때 쓰보우치 쇼요[坪內逍遙]와의 몰이상논쟁(沒理想論爭)은 유명하며, 그는 문학뿐만 아니라 의학 논쟁에서도 의학계 원로를 가차없이 논박하기도 하였다. 평론집·역사물 등 다방면에 저술이 있으며, 1956년 이와나미 서점[岩波書店]에서 발간한 《모리 오가이전집》은 53책의 방대한 분량에 이른다.

모리 오가이 연보
출생 1862.2.17~ 사망 1922.7.9

1862

2월 17일 일본 시마네현 출생. 본명 린타로.

1881

도쿄대학 의학부 졸업.

1884

4년간 독일에서 유학.

1888

귀국 후 육군대학 교관, 군의총감·의무국장 등 역임.

1889

번역시 《모습》 발표.

1890

아문체 소설 《무희》 발표.

1901

안데르센의 《즉흥시인》 번역.

1907

육군군의 총감 육군성 의무국장 역임.

1913

소설 《아베 일족》 발표.

1915

소설 《기러기》 발표.

1916

퇴역 후 제실박물관장 겸 도서관장·제국미술원장 등 역임.

1922

7월 9일 신장 쇠약으로 사망.

1956

이와나미 서점에서 《모리 오가이전집》(총 53권)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