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구슬나무과

멀구슬나무과

[ Mahogany family ]

요약 속씨식물 운향목의 한 과로, 약 1,400종이 주로 열대, 아열대 및 일부 온대지역에 분포한다. 멀구슬나무과는 목 또는 관목, 드물게 초본으로, 자웅동주, 잡성주, 자웅이주 또는 양성화주로, 잎은 대부분 나선상으로 어긋나게 배열하고 깃꼴겹잎이며 턱잎은 없으며 종자에는 흔히 날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멀구슬나무(천련자)의 꽃

멀구슬나무(천련자)의 꽃

학명 Meliaceae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운향
분포지역 열대, 아열대 및 일부 온대 지역에 분포
서식장소/자생지 숲속, 숲 가장자리

속씨식물 운향목의 한 과로, APG IV 시스템에 따르면 멀구슬나무과는 무환자나무목(Saxifragales)으로 분류된다. 멀구슬나무과는 약 50속 1,400여 종이 주로 열대, 아열대 및 일부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숲속이나 숲 가장자리에서 발견할 수 있다. 주요 속으로는 님나무속(Azadirachta), 멀구슬나무속, 참죽나무속 등이 있다.

활용

멀구슬나무과의 다양한 종이 식물성기름, 비누재료, 살충제, 목재(마호가니) 등으로 활용된다.

특징

교목 또는 관목, 드물게 초본으로, 자웅동주, 잡성주, 자웅이주 또는 양성화주이다.

잎은 나선상으로 어긋나게 배열하거나 드물게 마주나고, 깃꼴겹잎 또는 드물게 홑잎이며, 턱잎은 없다. 꽃차례는 주로 밀추꽃차례지만 드물게 총상 또는 수상꽃차례로 대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은 양성화 또는 단성화이며, 방사상칭이다. 꽃받침잎은 3-6개, 대개 기부에서 부분적으로 유합된다. 꽃잎은 3-6장이고, 이생하거나 기부에서 유합된다. 수술은 꽃잎의 2배수이고, 대개 기부에서 통 모양으로 유합되거나 드물게 이생한다. 자방은 상위이고, 기부가 밀선에 둘러싸이며, 자방실은 3-5실 또는 드물게 6실이다. 암술대는 1개이거나 없다. 배주는 자방실당 1개 내지 다수이다.

열매핵과, 삭과 또는 장과이다. 종자에는 흔히 날개가 있다.

국내 분포

한국에는 2속 2종이 알려져 있다. 멀구슬나무속의 멀구슬나무는 전라남도 및 제주도에 분포하며 가로수 등 관상수로 활용된다. 참죽나무속의 참죽나무는 전국에서 관상수로 심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