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호

만호

[ 萬戶 ]

요약 고려 ·조선시대의 무관직.

몽골식 명칭으로서 1281년(충렬왕 7) 고려와 (元)의 연합군에 의한 일본 정벌, 즉 동정(東征)을 할 때에는 단지 중군(中軍) ·좌군 ·우군에 3개의 만호를 두었을 뿐이었으나, 그 후 개경(開京)의 순군만호(巡軍萬戶)를 비롯하여 합포(合浦) ·전라(全羅) ·탐라(耽羅) ·서경(西京) 등에 5개 만호가 증설되었다. 그러나 지방의 만호는 거느리는 군대도 없이 금부(金符)만을 차고 다니는 유명무실한 것으로 되었다.

본래 만호 ·천호(千戶) ·백호(百戶) 등은 그 관령(管領)하는 민호(民戶)의 수를 표시하는 말이었으나, 후에는 그 민호의 수효와는 관계없이 다만 진장(鎭將)의 품계를 나타내는 말로 변하였다. 육군에서보다는 수군(水軍)에서 이 관직명이 오래 남아 있었다. 조선 전기에는 만호 ·부만호(副萬戶) ·천호 ·백호 등의 관직을 두었으나, 점차 정리되었다. 수군의 만호(萬戶)는 육군의 병마동첨절제사(兵馬同僉節制使)와 같이 종4품 무관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