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킹

마스킹

[ masking ]

요약 사진제판의 색분해 공정 중 농담(濃淡)·색조(色調)를 수정할 때 사진화상(寫眞畵像)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수정하는 방법.

컬러필름의 원도복제(原圖複製)에 가장 효과를 발휘하며, 색분해 네거티브로 시작하여 색복제를 하는 사진제판에서 원고와 같은 우수한 인쇄복제를 얻기 위해 이용된다.

분해 네거티브를 사용하여 각종 컬러 복제공정 도중에 수정을 하지 않으면 원고와 같은 복제가 되지 않는 원인으로는 ① 인쇄잉크가 이상적인 분광특성(分光特性)을 나타내지 않는다, ② 연속농담인 원고를 망점(網點)으로 재현하기 때문이다. ③ 제판공정 중에 여러 가지 오차가 생긴다. ④ 원고의 색채·농담과 인쇄의 재현 능력과의 차이가 있다는 등의 이유 때문에 마스킹법을 사용하여 사진적으로 수정한다.

마스킹의 원리를 보면 다음과 같다. 즉, 빨강(M)·파랑(C)·노랑(Y)의 색표를 원고로 하여 색분해를 하면 포지티브에 나타난 것처럼 빨강판은 파랑 부분에 중간농도가 나타나서 3색이 중첩되었을 때 붉은색을 포함한 파랑색이 되고, 노랑판 포지티브는 빨강 부분에 중간농도가 나타나서 중첩인쇄를 해보면 노랑색을 포함한 빨강색이 된다. 따라서 이들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파랑판 네거티브에서 엷은 농도의 포지티브(마스크)를 만들어 빨강판 네거티브에 겹친 것으로 포지티브를 만들면 색수정을 한 빨강판 포지티브를 얻는다. 또, 빨강판 네거티브에서 엷은 농도의 포지티브(마스크)를 만들어 노랑판 네거티브에 겹친 것으로 포지티브를 만들면 색수정을 한 노랑판 포지티브를 얻게 된다.

처음에는 수공적 방법인 리터칭(retouching)법으로 해왔으나, 사진기술이 발달하여 오늘날은 마스킹법을 채택함으로써 원고의 사실성(寫實性)을 높이고 수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적게 들며, 수공적인 수정과 같은 숙련이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최근에는 컬러 스캐너(color scanner)가 널리 실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