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상

동상

[ bronze statue , 銅像 ]

요약 사람이나 동물의 형상을 구리로 부어 만들거나 구릿빛을 입혀 만들어 놓은 기념물.
율곡 이이 동상

율곡 이이 동상

입상(立像) ·좌상(坐像) ·흉상(胸像) 등이 있다. 구리로 만든 것을 뜻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구리와 소량의 주석 합금인 청동으로 주조(鑄造)된 것이 많다. 청동은 나무 ·돌 ·철에 비하여 내구성이 강하기 때문에 인류문화 초기의 청동기도 현존하고, 이집트 ·그리스 이래 많은 동상이 남아 있다.

한국에도 불교가 전래된 이후 많은 불상이 구리를 재료로 하여 만들어졌다. 동상주조법은 납형(蠟型)과 사형(砂型)의 두 가지 기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서양에서는 예부터 거의 납형인 데 반하여, 한국에서는 초기에는 납형 기법에 의한 것이 만들어지다가 점차 사형이 많아져 현재는 특수한 공예품 외에는 거의 사형에 의한 주조이다. 한국의 옛 작품은 거의가 불상이며, 그것이 동상인 경우에는 대부분 도금되어 있으므로 금동불이라 한다.

오늘날 동상이라고 하면 특정 인물의 기념상을 의미하는 것이 보통이며, 한국에서 기념물로서의 동상이 세워지게 된 것은 서양식 조각기법이 전해진 한말 이후부터이다. 원형이 목조로 된 것도 있으나 서양식 소조 기법이 일반화되고 난 다음부터는 원형을 소조로 하는 것이 많다. 이것은 먼저 찰흙으로 상을 제작하고 이로부터 석고형을 떠서 석고상을 만든 다음, 만들어진 석고상을 원형으로 주형(鑄型)을 만들어 구리로 주조하는 방법이다.

참조항목

금동불, 소조, 흉상

역참조항목

납형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