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달이

동달이

요약 조선시대 전복(戰服:답호) 밑에 받쳐 입던 군복.

‘동다리(同多里)’라고도 한다. 형태는 지금의 두루마기와 비슷하나, 뒷길의 중심선과 무 양옆이 트인 것과 트이지 않은 것이 있다. 소매 부분이 길(몸판)의 색과 다른 것이 특징이며, 홑동달이와 겹동달이가 있다. 동달이라는 명칭은 소매를 길과 다른 색(홍색 따위)의 천을 덧붙인 형태에서 연유한 것 같다. 동달이는 협수(狹袖)라고도 하는데, 협수는 소매통이 좁은 군복포(軍服袍)의 총칭이며 동달이는 협수의 한 종류이다. 여러 종류의 협수 중에서 마지막까지 남은 것이 동달이였으므로 협수가 곧 동달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동달이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자료는 숙종 때 만든 《숭정전진연도(崇政殿進宴圖)》이며, 유물은 조선 후기의 것으로 겹 ·홑 2가지가 있다. 동달이의 색을 능행도(陵行圖)에서 살펴보면, 주황색 ·녹색 ·남색 ·자주색 ·흑색 ·분홍색 등이 있는데, 끝동 부분만 홍색인 것, 소맷부리에서 팔꿈치까지 홍색인 것, 소맷부리에서 진동선까지 홍색인 것의 3가지가 있다. 동달이는 계급에 따라 구분이 있어, 당상관은 문단사나(紋緞紗羅)를 허락하였고, 당하관은 근시(近侍)를 제외하고 모시 ·명주 ·저포의 3종류로 제한하였다.

참조항목

군복, 답호

역참조항목

전복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