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복

전복

[ 戰服 ]

요약 무신들이 동달이 위에 입는 옷.

답호·작자(綽子)·더그레·호의(號衣)라고도 부르는 전복은 《문헌비고》에 따르면 반비(半臂)에서 나왔다. 전복의 형태는 깃··무·이 없다. 단지 뒷솔기 중 허리 이하가 터진 점은 답호와 비슷하다. 그러나 전복은 답호에 비해 어깨너비와 진동선이 좁다. 전복은 무관이 동달이 위에 입었고, 그 위에는 를 매었다.

전복은 조선  이후 능행 때 구군복을 착용하면서 점차 일반화하였다. 민간에서는 신랑이 남전복을 입기도 하였다. 그런데 전복은 갑신의제(甲申衣制)개혁 때 모든 소매가 넓은 광수의(廣袖衣)를 폐지하고 소매가 좁은 옷, 즉 착수의(窄袖衣), 전복·사대(絲帶)를 조사(朝士)의 사복(私服)으로 삼았다. 전복은 다시 때 조신(朝臣)의 통상예복으로 주의(周衣)와 함께 답호를 입었다.

이처럼 전복은 답호와 달랐으나 그 형태가 비슷하여 혼동하고 있다. 오늘날 답호 등 반비 계통의 옷은 모두 전복으로 불리고, 남자어린이의 이나 옷으로 입는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