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루마기

두루마기

요약 한국 복식에서 외출할 때 가장 위에 입는 옷.

주막의(周莫衣)·주차의(周遮衣)·주의(周衣)라고도 한다. 양쪽 어깨 밑이 터져 세 폭이 따로 도는 창의(氅衣)와 달리 옷 전체가 돌아가며 막혀있는 형태로, 명칭은 '막혀있다'는 의미의 '두루막이'에서 비롯되었다.

사대부는 집에 있을 때에도 두루마기나 창의를 입는 것을 예의로 삼았고, 외출할 때는 위에 중치막·도포를 입었다고 하며, 중치막·도포의 착용이 허락되지 않은 상민 계급만 창의·두루마기를 웃옷으로 입었다고 한다. 1884년(고종 21) 복제 개혁에 따라 종래의 웃옷인 창의·도포·중치막 등이 폐지되자 두루마기가 웃옷으로 유행하였다. 어린이들도 예를 갖추어야 할 때는 두루마기를 입는데, 모양은 성인용과 같으며 돌이나 명절에는 까치두루마기나 오방장(五方丈)을 입었다.

일반적으로 뒷길·앞겉길·앞안길·소매·겉섶·안섶·동정·깃·옷고름·안옷고름 등으로 구성되며, 긴고름과 짧은고름 두 가닥으로 앞가슴에서 맺어 왼쪽으로 고를 내어 착용한다. 종류는 백이두루마기·홑단두루마기·겹두루마기·솜두루마기 등이 있으며 계절에 맞추어 입는다. 옷감은 겨울용에는 명주·모직·무명·옥양목·부사견을 주로 쓰고, 봄·가을용에는 명주·항라·옥양목을, 여름용에는 모시·생모시·항라 등을 쓰며, 빛깔은 일반적으로 백색을 많이 쓰나 회색·고동색도 쓴다. 오늘날에는 여러 가지 모양의 두루마기가 있다.

두루마기 본문 이미지 1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