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나물과

돌나물과

[ Stonecrops family ]

요약 속씨식물 장미목의 한 과로, 약 1,400-1,500종이 호주와 태평양 제도를 제외한 거의 전 세계에 분포한다. 돌나물과는 다육성이고, CAM 광합성을 수행하며, 심피는 모두 떨어져 있다. 꿀샘(밀선)은 심피 아랫부분에 비늘 모양으로 달리는 특징이 있다.
둥근잎꿩의비름

둥근잎꿩의비름

학명 Crassulaceae
식물
속씨식물
쌍떡잎식물
장미
분포지역 전 세계, 북반구 온대 지역, 남아프리카
서식장소/자생지 해안가 암석지, 산지 바위 틈, 숲 속 및 들판의 습한 곳

속씨식물 장미목의 한 과로, APG IV 시스템에 따르면 돌나물과는 진정쌍떡잎식물(Eudicots)-범의귀목(Saxifragales)으로 분류된다. 약 34-35속 1,400-1,500여 종으로 구성되며, 거의 전 세계에 자라지만 종다양성은 북반구 온대 지역과 남아프리카가 높다. 주요 속은 바위솔속(Orostachys), 꿩의비름속(Hylotelephium), 돌나물속(Sedum), 난쟁이바위솔속(Meterostachys) 등이 있다. 전통적으로 6개 아과로 분류했으나, 최근 분자계통수 연구에서 이들 모두 단계통군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으며, 현재는 3개 아과(Crassuloideae, Kalanchoideae, Sempervivoideae)로 구분하고 있다.

주로 암석지나 바위 틈에서 자라며, 습한 숲속 및 들판에 자란다. 많은 종이 원예용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중요하다.

특징

일년생, 이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이나 드물게 아관목 또는 관목이다. 양성화주이지만 간혹 암수딴그루이며, 전체에 털이 없고, CAM 식물이다. 뿌리는 수염뿌리 또는 덩이뿌리(괴근)이며, 비후되고, 목질화된다. 다육성 줄기는 직립하거나 아랫부분에서 기는줄기가 나와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호생, 윤생 또는 대생한다. 첫해의 잎은 대개 로제트 모양으로 밀집되고, 다육질이다. 잎자루는 있거나 없고, 턱잎은 없다. 꽃차례(화서)는 줄기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 나며, 취산화서, 밀추화서, 산방화서, 총상화서, 원추화서 또는 드물게 화서를 이루지 않고 1개씩 핀다. 꽃은 양성 또는 드물게 단성이고, 3-6수성이다. 꽃받침 조각과 꽃잎은 각각 떨어져 있거나 아랫부분이 붙어있다.

수술은 꽃잎과 같은 수인 경우 1열로, 꽃잎의 2배수인 경우 2열로 배열된다. 암술의 수는 꽃잎의 수와 같고, 심피는 모두 떨어져 있다. 씨방(자방)은 상위이고, 대개 기부에 밀선이 비늘 모양으로 있다. 자방실은 1실이고, 밑씨(배주)는 여러 개이며, 변연태좌(變緣胎座)이다. 열매는 골돌이고, 종자는 타원형인데 간혹 좁은 날개가 있다.

국내 분

한국에는 5속 25종(꿩의비름, 돌나물, 바위솔, 난쟁이바위솔, 돌꽃)이 알려져 있다. 남한 전역에 분포하며, 숲속의 암석지나 바위틈, 해안가 들판에 자란다. 한국 고유종은 애기바위솔, 태백기린초, 섬기린초, 속리기린초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