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백록

대백록

[ 待百錄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인 홍중인(洪重寅)이 당쟁(黨爭)에 관련된 자료들을 편집한 책.
구분 당쟁 자료(필사본)
저자 홍중인
시대 조선 후기

필사본. 1책. 노론과 소론의 문집 ·야사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당쟁의 시비와 인물의 사정(邪正)을 후대인들에게 밝히려는 목적에서 지었다는 일종의 서문이 권두에 실려 있다. 체제는 동인과 서인 사이에 첨예한 정쟁사안(政爭事案)을 정리하고, 매 사건 말미에 자신의 논평을 다는 방식을 취하였다.

소제목 《대백록》에는 기축옥사 관련 기록이 날조되었음을 주장하는 글과, 정철에 의하여 최영경(崔永慶)이 억울하게 죽었다고 말해오던 기자헌이 인조반정 공신 김류 등에 의하여 억울하게 죽었다는 글, 기축옥사 때 류성룡이 정철과 함께 옥사를 다스렸다는 이야기는 허무맹랑한 말이라는 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정릉사(靖陵事)>는 1593년 왜적에 의하여 정릉(중종의 능)이 침범된 사건의 시말에 대한 기록이다. 이어서 성혼(成渾)의 봉심후정대신의(奉審後呈大臣議)와 여이참의별지(與李參議別紙)를 수록한 뒤 자신의 논평을 덧붙였다. <예송(禮訟)>에서는 예송의 개괄적인 줄거리와 그 관련인물을 차례로 비판하였고, 《기축록》을 주요 근거자료로 삼아 서인들의 정치적 행각을 비판하였다. 그러나 동인의 후예 이수경(李壽慶)의 《기축록》에 크게 의존함으로써 서인에 대해 편향된 입장을 띠고 있다는 지적도 받을 수 있다. 1983년 여강출판사에서 영인한 《조선당쟁관계자료집(朝鮮黨爭關係資料集)》(2권)에 수록되어 있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