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반야바라밀다경

대반야바라밀다경

[ 大般若波羅蜜多經 ]

요약 불교 반야부(般若部) 계통의 경전을 집대성한 총서(叢書) 600권에 대한 호칭.
구분 불경
시대 660~663년

한역 불전(漢譯佛典) 중 가장 방대한 양의 경전집으로, 줄여서 《대반야경(大般若經)》이라고 한다. 대체로 이 경전은 당(唐)나라 현장(玄裝)에 의하여 660~663년간에 번역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물론 이 대총서가 혼자의 힘만으로 된 것이 아니라는 것만은 확실하다.

이 반야부에 속하는 대경전은 대장경(大藏經)의 1/3에 해당하는데, 그 중 3/4이 《대반야경》이므로, 이 경전은 사상적 내용면에서나 방대한 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몽골의 침입 때 국난을 이겨내기 위하여 판각(板刻)되었다는 《고려대장경》에도 그 첫머리에 이 경전을 둔 것도 이런 까닭에서였을 것이다. 이 대경전을 전체적으로 보면 (空)사상을 천명하고 있는데, 육바라밀(六波羅蜜) 중에서도 반야바라밀에 대해 중점을 두어 논하고 있다. 반야(지혜)는 곧 부처의 원천(源泉)이요 육바라밀의 원천으로서, 모든 법(法)이 반야에서 나온 것이므로, 반야바라밀을 성취하면 곧 육바라밀을 성취함이 되고, 그것이 곧 모든 지혜를 성취하는 지름길임을 말하였다.

이 경전의 구성은 600권 4처(處) 15회(會), 275분(分) 460여 만 자로 구성되었는데, 4처란 이 경전이 이뤄진 네 곳, 16회란 16차의 모임을 말한다. 즉, ① 왕사성(王舍城)의 영취산(靈鷲山:1~6, 16회), ② 사위성(舍衛城)의 기원정사(祈園精舍:7~9, 11~14회), ③ 타화자재천왕궁(他化自在天王宮:10회), ④ 왕사성 죽림정사(竹林精舍:16회)이다. 이 16회 중 《대품(大品)반야경》(2회) 《소품(小品)반야경》(4회) 《금강경》(9회) 《반야심경》(10회) 등이 대표적인 것들이다. 이 《대반야경》에 속한 경전들은 《대장경》의 경우처럼 독립본으로서 따로따로 간행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