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약 불교 사상의 핵심 개념.
원어명 śūnya

모든 존재는 인연(因緣)으로 생겨난 것이므로 고정되고 불변하는 본체(本體)나 실체(實體)라고 할 만한 것은 없음을 나타내는 불교 사상의 핵심 개념이다. 산스크리트어에서 '0'이나 '없다・비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수냐(śūnya)'를 한자로 옮겨 나타낸 것으로, 명사형인 '수냐타(śūnyatā)'는 '공성(空性)'이라고 구분되어 옮겨지기도 한다. 소리를 그대로 본떠 '순야(舜若)'와 '순야다(舜若多)'라고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불교 사상은 고대 인도의 철학과 종교에서 영원하고 불변하는 초월적 자아(自我)로 강조된 '아트만(ātman)'에 관한 관념을 비판하며 '무아(nir-ātman)'를 주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곧 영원불변의 초월적 자아나 고정된 실체 따위는 없으며, 이 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으로 생겨난 연기적(緣起的)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공(空)은 이처럼 연기설(緣起說)에 기초해 모든 것이 고정된 본성이 없이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무아(無我)・무상(無常)에 관한 관념을 나타낸다.

나아가 공(空)은 집착에서 벗어날 것을 강조하기 위한 실천적인 개념이기도 하다. 대승불교에서는 공(空)을 '인공(人空)'이라고도 하는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의 둘로 나누어, 이를 '이공(二空)'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것들은 '아집(我執)'과 '법집(法執)'이라 불리는, 자신과 만물에 대한 고정된 인식에서 벗어나야 무애(無礙)의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으로 쓰인다.

참조항목

공종, 삼제, 십팔공, 연기,

역참조항목

무상, 법무아, 용수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