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사슴

대륙사슴

[ 大陸─ ]

요약 소목[偶蹄目] 사슴과의 포유류.
대륙사슴

대륙사슴

학명 Cervus nippon hortulorum
동물
척삭동물
포유
사슴
멸종위기등급 관심대상(LC : Least Concern, 출처 : IUCN)
크기 어깨높이 약 92㎝
몸의 빛깔 연분홍빛을 띤 밤색(여름털), 어두운 갈색(겨울털)
생식 번식기 10∼12월, 임신기간 227∼249일, 출산시기 5∼6월, 1회에 1마리 낳음
생활양식 수컷 또는 암컷끼리 무리를 이루거나 혼합 무리를 이룸
서식장소 평지부터 해발고도 2,500m까지의 삼림
분포지역 한국, 중국 북동부

어깨높이는 약 92㎝이다. 일본사슴아종으로, 우수리사슴보다 작으며, 키가 크고 흰색의 경반(鏡斑)이 특히 작으므로 원래의 과 서로 다르다. 여름털은 연분홍빛을 띤 밤색이고, 등면과 옆구리에는 노란색 반점이 있으며, 흰색의 경반은 비교적 작다. 겨울털은 몸통이 어두운 갈색이고, 머리·목·어깨는 여름털의 반점 흔적이 엿보인다.

평지부터 해발고도 2,500m까지의 산림에 살며, 먹이를 섭취할 때 외에는 산림을 떠나지 않는다. 수컷끼리 또는 암컷끼리 무리를 이루거나 혼합 무리를 이룬다. 먹이는 주로 나뭇잎과 풀의 잎·줄기, 이끼를 많이 먹는데, 먹이가 부족하게 되면 나무껍질도 먹으며, 메밀··밤·도토리 등도 먹는다. 에 비해 거친 먹이에 잘 견디지만, 염소보다는 못하다.

번식기는 10∼12월이고, 임신기간은 227∼249일이며, 5∼6월에 한배에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일반적으로 잡초가 무성한 덤불 속에 낳으며, 3∼4일 동안 그곳에 누워 있는다. 어미는 1∼2일간 새끼의 옆을 떠나지 않고 지키다가 밖으로 나와 먹이를 섭취하면서 때때로 새끼들에게 젖을 먹인다. 한국과 중국 북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남한의 경우 1940년대에 멸종된 것으로 보이며, 2012년 7월 27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대륙사슴 본문 이미지 1

참조항목

사슴, 우제류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