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alian Millet , ]

요약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조

학명 Setaria italica
식물
속씨식물
외떡잎식물
벼목
서식장소/자생지
크기 높이 1∼1.5m

영문명으로 ‘Barn grass’ 또는 ‘Chinese corn’이라고 한다. 속명의 ‘Setara’는 라틴어의 ‘seta(강한 )’에서 유래하며, 종명의 ‘italica’는 '이탈리아산의' 를 뜻한다. 밭에서 재배하며 높이 1∼1.5m로 가지를 치지 않는다. 잎은 바소꼴에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밑부분이 [葉齧]으로 된다. 는 가늘털이 밀생한다.

꽃이삭은 길이 15∼20cm로서 한쪽으로 굽고 짧은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꽃이 밀착한다. 1개의 작은 가지에는 1개의 와 가 달리고 밑부분에 가시 같은 털이 있다. 작은이삭은 길이 3mm 정도로서 1개의 꽃이 된다. 첫째 영(苞潁:작은이삭 밑에 난 한 쌍의 포)은 길이 0.8∼1mm로서 3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2mm 정도로서 5맥이 있으며 까락[芒]은 없다. 퇴화된 꽃의 호영(護穎:화본과 식물 꽃의 맨 밑을 받치고 있는 조각)은 5맥이 있고 까락이 없으며 둘째 포 비슷하다. 영과(穎果)는 황색이고 둥글며 떨어진 다음 포영이 남는다.

산지와 재배환경

조의 원산지는 동부 아시아이며 그 원형(原型)은 강아지풀(S. viridis)이다. 조는 고대부터 재배되었으며, 중국에서는 BC 2700년에 이미 5곡(五穀)의 하나였다. 한국에서는 옛날부터 구황작물(救荒作物)로서 중요시되어 왔으며 가뭄을 타기 쉬운 산간지대에서는 밭벼 대신 재배된다. 조가 세계적인 작물은 못되지만 한국에서는 옛날부터 전국적으로 재배해 온 작물로서 한때는 다음으로 많이 재배했던 밭작물이었으나 요즈음에는 식생활이 바뀌면서 극히 적은 면적에서 재배되고 있다. 조의 분류와 품종을 살펴보면 봄에 뿌리는 봄조와 여름에 뿌리는 그루조로 구분된다. 

조의 재배환경은 온난건조를 좋아하며 다소 가뭄이나 저온에도 잘 견딘다. 의 적온은 30∼31℃이다. 병해충으로는 조군데병이 있는데 잎이 점차 담갈색으로 변해서 찢어지고 가색의 가루를 날리다가 백발이 되는 병이다. 한국에서는 남부지방에서는 일본종, 북부지방에서 중국 전래 품종이 다소 재배되나 전국 재배 품종은 한국 재래품종이 주를 이룬다.

분류

국내에서 조는 흔히 씨앗의 성질에 따라 차조와 메조로 나뉘며 차조는 나속(糥粟), 메조는 경속(粳粟)이라고도 한다. 차조는 찰기가 있으며 노란색 혹은 녹색을 띠고, 메조는 광택이 없는 노란색이다. 메조는 차조에 비해 끈적임이 적고 고소하며 열매가 굵은 편이지만, 이 둘을 육안상으로 구별하기는 쉽지 않다. 녹말의 한 성분인 함량으로 구분해보면 국내의 경관1호, 밀양4호, 강해조 등의 16품종이 5.9~7.4%의 아밀로오스 함량으로 차조로 분류되며, 삼다메, 밀양5호, 황금조 등 14품종이 19.2~32.0%의 높은 아밀로오스 함량으로 메조로 분류된다.

메조와 차조는 공통적으로 쌀, 보리 등과 함께 혼반용으로 쓰이는 것은 물론 죽, 미음 등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차조의 경우 찰기로 인해 , 차조약식은 물론 , 엿, 등의 원료로도 쓰인다. 반면 메조는 그밖에 견사용의 풀, 새의 사료 등의 용도로 활용된다.

참조항목

, , , ,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