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운부군옥목판 및 고본

대동운부군옥목판 및 고본

[ Printing Woodblocks and Manuscripts of Daedong unbu gunok (Encyclopedia of Korea, Arranged by the Rhymes of the Entries) , 大東韻府群玉木板 및 稿本 ]

요약 조선 중기의 학자인 권문해(權文海)가 1589년(선조 22)에 편찬한 백과서 《대동운부군옥》을 찍어낸 책판과 3종의 초고본(草稿本). 1986년 10월 1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동운부군옥목판 및 고본

대동운부군옥목판 및 고본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86년 10월 15일
소재지 경상북도 예천군
시대 조선
종류/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관판본
크기 20권 20책

1986년 10월 1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책판 667판(양면), 고본 3종 27책. 이 백과서는 단군 때부터 편찬된 당시까지의 여러 사항을 한자(漢字)의 107운(韻)으로 분류하여 편찬한 20권 20책의 거질유서(巨帙類書)이다.

⑴ 대동운부군옥 책판:목판. 57.4×24.1×2cm. 권문해가 대구부사(大邱府使) 재직시인 1589년 원고작성을 완료하여 상·중·하 3본(本)을 정사해 두었는데, 상본은 임진왜란 때 잃어버렸으며, 중본은 화재로 소실되었고, 하본만 본가(本家)에 남아 있었다. 이것을 저본(底本)으로 1812년(순조 12)에 권현상(權顯相)이 각판(刻板)에 착수하여 24년 만인 1836년(헌종 2)에 완성하였다.

⑵ 대동운부군옥 초고본:체재·형식·서체 등이 다소 상이한 미완질의 3종 27책이다. 권수서명(卷首書名)이 《신편대동운옥(新編大東韻玉)》으로 기록되어 있다. 3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필사본. 18권 18책(권1∼10, 12∼17, 19∼20). 25.7×36cm.
② 필사본. 2권 1책(권1∼2). 21×33.4cm.
③ 필사본. 8권 8책(권 2,7,12,13,14,16,17,20). 32.2×35.4cm.

이 3종을 맞추어 봐도 권11,18은 없다.

역참조항목

예천 초간정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