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경제예측

단기경제예측

[ short-term economic forecast , 短期經濟豫測 ]

요약 정부의 경기부양정책 수립이나 기업의 생산계획 ·투자계획 작성 등의 중요한 전제로서, 대략 향후 2년 이내의 단기적인 경제예측을 하는 일.

국민총생산 ·소비지출 ·설비투자 ·국민소득국민경제 계정의 프레임에 의하여 거시적으로 예측하는 경우가 많지만, 개별 상품의 생산이나 가격 등 미시적으로 행해지기도 한다. 그 방법을 대별하면, 물가지수생산지수 등 경기변동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는 지표를 이용하는 것과 경제 제량(諸量)의 상호의존 관계를 나타내는 계량경제학적 모델을 사용하는 등의 2가지가 있다.

그러나 어느 것이나 일장일단이 있으며, 또한 2가지 모두 과거의 경험을 기초로 하고 있기 때문에 경제의 구조적 변화 등을 충분히 예견하지 못한다는 공통된 결점이 있어서 그 예측의 정밀도(精密度)는 아직 불충분하다. 현재는 기업의 투자계획이나 가계의 소비예정 등을 조사한 예측통계를 포함한 경기지표나 경제 모델 등 종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