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지수

물가지수

[ price index , 物價指數 ]

요약 물가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지수.

기준이 되는 해(기준시점)의 물가수준을 100으로 하고, 그 후의 물가를 종합지수의 형태로 나타낸다. 물가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일 뿐 아니라, 각종 정책의 지표로서 또는 각종 디플레이터(가격수정인자)로서 이용된다. 물가지수는 상품거래의 단계에 따라 도매물가지수·소매물가지수·생계비지수의 구별이 있으며, 특수한 것에는 무역물가지수·농촌물가지수 외에 지역적인 물가차를 표시하기 위한 지역차물가지수가 있다.

물가지수는 먼저 각 상품의 가격계열을, 기준시점을 100으로 나타낸 가격지수에 합계 1의 웨이트(가중치)를 배분하여 가중평균(加重平均)을 함으로써 작성되는데, 웨이트를 잡는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여러 방식이 있다.

(단위:2005=100)

항목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전 도시

88.022

91.576

96.105

100.0

103.1

106.3

서울특별시

87.380

91.062

95.933

100.0

103.1

106.5

부산광역시

88.928

92.787

96.366

100.0

103.1

106.4

대구광역시

88.632

92.106

96.201

100.0

102.9

106.1

인천광역시

88.824

91.926

96.410

100.0

103.1

105.8

광주광역시

87.349

90.923

96.142

100.0

103.1

106.8

대전광역시

87.955

91.196

96.220

100.0

103.1

106.3

울산광역시

88.146

91.636

96.125

100.0

103.4

107.1

경기도

87.966

91.390

95.998

100.0

103.4

106.6

강원특별자치도

87.730

91.173

95.682

100.0

102.7

105.7

충청북도

88.031

91.785

95.916

100.0

102.8

106.2

충청남도

87.333

91.348

95.823

100.0

103.1

106.3

전북특별자치도

88.006

91.781

96.477

100.0

102.7

105.9

전라남도

88.742

92.101

96.558

100.0

102.7

105.9

경상북도

89.101

91.796

96.114

100.0

103.0

106.3

경상남도

88.497

92.507

86.531

100.0

102.7

105.8

제주특별자치도

88.344

91.525

96.663

100.0

102.7

1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