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사누스

쿠사누스

[ Nicolaus Cusanus ]

요약 독일의 추기경·수학자·철학자로 교회개혁과 교회일치를 위해 힘썼다. 1448년에 추기경, 1452년에는 티롤 지방 브릭센의 대주교가 되었다. 대립술의 일치를 신에게서 인식하는 데는 인식의 최고 단계인 직관(直觀)에 따른다고 하였다.
출생-사망 1401 ~ 1464.8.11
본명 니콜라우스 크레브스(Nicolaus Krebs)
국적 독일
활동분야 종교, 철학
출생지 독일 모젤강변의 쿠에스
주요저서 《데독타이그노란티아 De docta ignorantia》(1440) 《신의 환상(幻像)에 관하여》(1453)

본명 니콜라우스 크레브스(Nicolaus Krebs). 모젤강변의 쿠에스 출생. 쿠사누스는 쿠에스인(人)이라는 뜻. 1413년 네덜란드의 데펜터에 있는 ‘공동생활의 형제회’에서 교육을 받고, 1416년 이후 하이델베르크대학교, 이탈리아의 파도바대학교, 쾰른대학교에서 법학 ·철학 ·수학 ·자연과학 등 광범하게 학문을 연구했다.

1430년에 귀국, 코블렌츠의 성 플로린 성당의 사제가 되었다. 바젤공의회(公議會)에 회의파로 참가했으나, 뒤에는 교황파가 되었다. 교회개혁과 교회일치를 위해 힘썼으며, 1448년에 추기경, 1452년에는 티롤 지방 브릭센의 대주교가 되었다. 만년에는 이탈리아를 여러 번 여행하였는데, 그 곳 토디에서 죽었다. 그의 사상은 스콜라학파의 전통과 신플라톤파의 사상을 이어받아, 신은 능산적 자연(natura naturans)이고, 현상세계는 소산적(所産的) 자연(natura naturata)으로서 이 모순은 신에게 있어 반대의 일치를 이룬다고 하였다.

또한 그 대립술의 일치를 신에게서 인식하는 데는 인식의 최고 단계인 직관(直觀), 즉 ‘무지의 지(知)(docta ignorantia)’에 따른다고 하였다. 그의 사상은 근세철학, 특히 G.브루노, 라이프니츠에게 영향을 주었다. 저서에 주저 《데독타이그노란티아 De docta ignorantia》(1440) 외에 《보편적 화합에 대하여》(1440) 《신의 환상(幻像)에 관하여》(1453)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