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하수체후엽호르몬

뇌하수체후엽호르몬

[ posterior pituitary hormone , 腦下垂體後葉─ ]

요약 뇌하수체의 후엽부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어류 ·양서류에서는 시상하부(視床下部)의 시색전핵(視索前核), 파충류 ·조류 ·포유류에서는 시색상핵(視索上核)과 실방핵(室旁核)의 신경분비세포에서 만들어진다. 호르몬은 운반체와 결합되어 세포의 과립 속에 함유되어 있다. 포유류의 운반체는 뉴로피진(neurophysine)이라고 하는 펩티드이다. 호르몬을 품고 있는 과립은 신경분비의 축색(軸索)을 지나 후엽에 이른다. 축색의 끝은 후엽의 혈관벽에서 끝나므로, 여기에서 호르몬이 혈액 속으로 방출된다. 후엽은 주로 신경분비세포의 축색과 그 말단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밖에 뇌에 있는 교세포(膠細胞)와 기원이 같은 피튜이사이트(pituicyte)라고 하는, 기능불명의 세포가 섞여 있다.

동물은 보통 2종류의 후엽 호르몬을 합성 ·분비한다. 포유류에 있어서는 자궁수축작용과 유즙분비작용을 하는 옥시토신(자궁수축호르몬)과 혈압상승작용과 항이뇨작용을 하는 바소프레신(항이뇨호르몬)을 분비한다. 따라서 후엽을 제거하면 요붕증(尿崩症)에 걸리게 된다. 조류와 파충류에 있어서는 바소프레신이 산란을 촉진하고 항이뇨작용을 한다. 옥시토신은 조류와 파충류에 있어서는 혈압을 하강시키며, 개구리에 있어서는 후엽 호르몬이 피부로부터 물과 나트륨을 흡수하는 작용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포유류의 옥시토신은 실방핵에서 만들어지고, 바소프레신은 시색상핵에서 만들어진다. 신경분비세포에는 모노아민성의 신경이 시냅스를 이루어 분비를 조절하고 있으나, 양핵 부근에 아세틸콜린을 주사해도 호르몬이 분비되므로 콜린성의 신경도 분비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