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전화

농업전화

[ 農業電化 ]

요약 농업에 전기를 이용하는 일.

목적은 농업기술의 개선과 경영의 합리화, 생산력의 증강, 농가경제를 안정시킴으로써 농업의 근대화가 추진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전기의 이용은 광(光) ·열(熱) ·동력(動力)의 세 방향으로 나누어지며, 오늘날 전국의 농촌에도 전화사업이 완료되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중에는 비교적 작업에 적합한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으며 또 장단점이 있으므로 실제 상황을 잘 알아둘 필요가 있다.

장점으로는, ① 작업이 쉽게 되어 일의 능률을 올릴 수 있다. 특히, 작업이 자동화된 것을 사용하면 인위적인 조작이 필요 없다.

② 전동기의 회전이 원활하므로 제품의 손실이 적다. 기계운전의 상태가 나빠지거나 고장이 나지 않는다. 전동기는 회전수가 정확하고 일정하게 회전하므로 정미(精米)의 경우 싸라기 등이 생기지 않으며, 쌀알의 형태가 고르다.

③ 큰 기계로 주야간 연속하여 작업하는 데 가장 적합하다. 기계가 스스로 작업을 하므로 사람은 지켜 있으면 된다. 전력에 의한 관개(灌漑)나 배수(排水)에 의해 넓은 구역의 경지를 취급하는 것으로는 다른 기계로서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할 정도로 큰 마력의 기계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필요한 기간 동안 연속 사용하여도 고장이 없으며, 적은 인원으로도 작업이 가능하다.

④ 다른 원동기와 같이 작업에 수반되는 소모품, 즉 연료 등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것을 조달하는 수고 ·비용 ·시간이 절약된다.

⑤ 사용개시 및 정지가 매우 간단하다. 스위치를 작동시켜 전류를 통하게 하고 또 그것을 끊음으로써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른 자재의 부족을 전기로 대용할 수 있다. 발열재료의 부족 등으로 곤란한 때는 전열을 사용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상에 전열을 써서 적온이 될 수 있도록 설계를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온이나 저온이 될 염려가 없다.

단점으로 ① 전기를 이용하는 장소는 배전선이 있는 범위에 한정되며,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없다. 수전설비(受電設備)에 상당한 비용이 들 때는 이동용 전기기계기구 등을 이용함으로써 약간의 불편은 경감시킬 수가 있다.

② 전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누전되어 사람 ·가축에 해가 되거나 기물 등을 훼손할 위험이 있다. 농업은 주로 야외작업이므로 옥내작업에 비하여 작업이 거칠기 때문에 전선의 손상이 많아서 내부의 전기도체의 노출로 감전이 생긴다. 또한 전류를 통하는 전선의 접속 등이 나쁘면 열이 발생되어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정전으로 인하여 목적물이 못쓰게 되는 경우가 있다. 농업은 계절적 작업이 많으므로 시간이 지연되면 다음 작업에 영향을 미쳐 수확에 나쁜 결과를 가져온다. 특히, 전기에 의한 부화(孵化)나 전기육추 ·전기저장 등과 같이 연속된 전기를 사용하는 데는 장시간의 정전으로 목적물이 전부 폐물이 되기 쉽다. 농업은 대체로 계절적 ·단속적인 작업이므로 작업에 전기를 사용하는 데에는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조항목

농업, 농업근대화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