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수

농업용수

[ 農業用水 ]

요약 농작물 생육의 안전을 기하고 농업경영의 합리화를 위하여 농경지에 체계적으로 공급하는 물을 말한다. 이것을 위해서는 토양 ·식물 ·물의 3자간의 유기적 관계에 입각하여 수량(水量) ·수원(水源) ·도수(導水) ·배수(排水) 등의 방법을 계획하여 그 경제효과가 용수생산 시설의 공사비를 충당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수원으로는 하천 ·저수지 ·지하수 등 3 가지로 나눈다.
청평댐

청평댐

농업용수를 위해서는 토양 ·식물 ·물의 3자간의 유기적 관계에 입각하여 수량(水量) ·수원(水源) ·도수(導水) ·배수(排水) 등의 방법을 계획하여 그 경제효과가 용수생산 시설의 공사비를 충당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농업용수의 수원으로는 하천 ·저수지 ·호수 ·샘 등이 있으나, 대별해서 하천 ·저수지 ·지하수 등 3 가지로 나눈다. 그 선택에는 사업비가 저렴하고 수질이 양호하며, 수량이 풍부하고 치수(治水) ·이수(利水)의 사회적 장애가 적은 것이 고려해야 한다. 한국 농업은 아시아계절풍대의 온난다습한 자연조건을 활용하는 벼농사 중심의 농업이어서 용수를 얻을 수 있는 경지를 모두 논[畓]으로 개발하여 왔다.

이와 같은 논을 중심으로 하는 농업용수는 다음과 같은 특질을 가지고 있다.
① 천후에 의한 농작물 생육기의 변동, 강우량의 변화에 의한 보급 필요량 및 수원수량의 변동 등 환경요인에 의한 것과, 또 최근의 경향으로 품질개량, 모내기의 기계화 보급 등 재배양식의 변화에 따르는 관개기간 등의 변동이 생긴다.

② 농업에 있어서의 토지와 물의 이용방식은 그 지역의 자연환경에 순응하는 동시에 지역사회 안에서 형성된 질서에 따라 성립되고 있다.

③ 농업용수는 여러가지 면에서 공공적(公共的) 성격과 사적 성격을 겸비하고 있다. 말단에서 물 이용의 주체는 한 필지의 논이며, 그 농업경영은 개인에 의해 이루어지나, 저수지와 수로(水路) 등의 시설은 지역적인 면적을 가지며, 큰 투자액을 필요로 하여 그 건설과 관리를 사적으로 시행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공공적인 성격이 강하다. 용수로 ·배수로에서는 공공적인 성격이 더욱 강한 것으로 되어 있다.

농업용수개발로서는 대규모의 관개용수 사업으로서 농림부가 농어촌진흥공사로 하여금 개발하도록 하는 것, 또 건설교통부가 실시하는 특정 다목적댐을 이용하는 것, 지방자치단체 또는 농지개량조합이 농림부의 지도 ·지원을 받아 사업을 실시하는 것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