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소득

농업소득

[ 農業所得 ]

요약 농업경영 활동의 결과 얻어지는 소득.

농가소득의 주된 구성요소이다. 농업조수입(農業粗收入)에서 농업경영비를 뺀 나머지로서 그 크기는 농가에게 주어진 여러 생산자원(농지 ·농업노동 ·농업자본)의 이용률을 비롯한 투입물가격(投入物價格)에 대한 생산물 가격의 비(比), 경영의 규모, 경영주(經營主)의 능력 등에 주로 의존한다. 즉, 주어진 자원조건에서 합리적인 농장조직을 만들어 수익성 높은 작물을 도입, 가급적 많은 농산물을 생산하여야 하며, 생산된 농산물은 유리한 가격으로 판매하여 조수입을 높여야 한다. 농업조수입의 구성 내용은 농작물수입을 대종(大宗)으로 한 양축(養畜) 및 축산물 수입, 농산물 가공수입, 재고(在庫) 농산물의 증감(增減), 대동식물(大動植物)의 증감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농업경영비의 구성내용을 식(式)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농업경영비=투입물재비(投入物財費)+고용노임+소작지소작료+차입금이자+조세공과

따라서 농업소득을 높이려면 농업조수입을 높이는 한편, 농업경영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경영을 해야 한다.

역참조항목

농가부채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