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농가

[ 農家 ]

요약 농업을 생계의 기본으로 하는 세대(世帶).
스위스 농가

스위스 농가

그러나 엄밀한 정의를 필요로 하는 농림통계(農林統計)에 있어서도 그 성격규정은 여러 가지 변천이 있으며 오늘날에도 일정하지 않다.

농가에는, ① 세대원 중에서 자가농업 이외의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없는 농가, 즉 전업농가(專業農家), ② 세대원 중에 자가농업 이외의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있는 농가로서 농업을 주로 하는 제1종 겸업농가(兼業農家), ③ 농업을 부(副)로 하는 제2종 겸업농가가 있다.

한국의 농가호수는 1970년대 말에 216만 1,821호 중 전업농가 ·제1종 겸업농가 ·제2종 겸업농가는 각각 177만 6,060호, 21만 815호, 17만 4,946호였는데 1992년에는 전농가수가 164만 853호로 약 24%가 감소하였고, 전업농가 102만 5,850호, 제1종 겸업농가 25만 2,405호, 제2종 겸업농가 36만 2,599호로서 총세대수 1135만 7,200호 중 농가호수는 약 14%가 된다. 그리고 이렇게 겸업화 경향이 강해지고 있는 것은 증대하는 가계지출에 농업소득의 신장이 대응하지 못하여 농가경제가 농업의 소득에 의존하게 된 데서 온 것이다.

경영경지(經營耕地)의 규모별 구성을 보면 영세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8 ·15광복 후 농촌 근대화가 꾸준히 추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농경지는, 1970년대 말 전농가 호수 216만 1,821호 중 0.1ha 미만 경작농가는 8만 4,308호, 1ha 미만이 140만 5,372호, 1ha 이상 3ha 미만이 64만 5,363호, 3ha 이상이 2만 6,778호로서 1ha 미만인 농가가 65%로 가장 많음을 보여주고 있다. 1993년의 경우는, 전농가 호수 159만 2,480호 중 1ha 미만 경작농가는 92만 3,280호, 1ha 이상 3ha 미만이 58만 6,710호, 3ha 이상이 5만 9,280호로서 역시 1ha 미만인 농가가 전체농가의 58.0%로 가장 많음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의 농가 전체의 동향으로서는 농가호수가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것과 겸업농가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근년에 와서 농가에서도 종래의 전통적 농업방식에서 탈피하여 공예작물 등 작물종류의 다양화와 비닐하우스 재배 등 영농방법의 근대화를 도모하여 소득증대에 노력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경향이다.

카테고리

  • > > >

관련이미지

스위스 농가

스위스 농가 스위스 베른주 그린덴발트의 농가.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