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실증주의

논리실증주의

[ logical positivism , 論理實證主義 ]

요약 1924년경 M.슐리크를 중심으로 결성된 빈학파(Wien 學派)의 실증주의 철학.

빈학파에 의해 제기된 일련의 철학적 명제들로 된 이 철학은 B.A.W.러셀의 논리적 원자론, L.비트겐슈타인의 일상언어철학, K.R.포퍼의 비판적 합리론, 그리고 기타 여러 사람의 과학철학과는 구별되면서도 또한 이들과 더불어 넓은 의미에서 분석철학(分析哲學) 발전에 기여하였다.

또 이 학파는 M.슐리크와 R.카르나프를 중심적인 지도자로 하여 H.한, O.노이라트, P.프랑크, F.바이스만, H.파이글, K.멩거, K.괴델을 회원으로 하여 1922년경부터 본격적인 활동을 하다가 1930년대에 들어서 죽는 사람도 생기고 나치의 탄압으로 영국이나 미국으로 이주하여 1938년에 해체되었다. 빈학파는 철학자뿐만 아니라 수학자 ·물리학자 ·경제학자 등 다양한 전공의 배경을 가진 회원들로 구성되어 과학이라는 것을 수학과 논리학, 그리고 이론물리학의 종합적인 관점에서 통일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과학체계를 구성하기 위하여 이 학파는 그 체계의 언어관을 제안하였다. 그 핵심적인 내용은 “명제(命題)의 의미는 그 명제를 검증(檢證: verification)하는 방법과 동일하다”라는 문장에 의하여 표현된다. 이것은 비트겐슈타인의 영향에 의해 채택된 것으로서 명제는 그 명제를 참이 되게 하는 경험들의 총체를 뜻한다는 것이다. 이 경험은 실제적일 필요는 없고 다만 원칙적으로 가능하기만 하면 된다. 그래서 이것을 검증가능성원리(檢證可能性原理)라고 한다.

이 원리가 가정하는 것은 어떠한 명제도 만일 그 참인 조건과 거짓인 조건이 알려질 수 없을 때 어떠한 의미로서 파악해야 하는가의 표준의 제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원리에 의하면 검증할 수 없는 명제는 무의미하게 된다. 즉, “절대자는 시간 밖에 존재한다”라는 명제는 검증될 수 없으므로 무의미하게 된다. 이것은 A.콩트의 실증주의가 위 명제를 거짓이라고 한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또한 윤리적 명제도 참이거나 거짓일 수 없으므로 사실의 명제가 아니라 다만 우리의 자세나 태도를 표현하는 몸짓과 비슷한 행위의 명제라고 한다.

그러나 문제는, 검증원리가 너무 엄밀하여 자연과학의 법칙명제까지도 제외하는 데 있다. “모든 황새는 빨간 다리를 가지고 있다”라는 생물학적 명제는 일반적이므로 미래의 경우까지 포함한다. 현재의 경우는 실제적으로 모두 검증할 수 없다 하더라도 원칙적으로는 가능하다. 그러나 미래의 경우는 본질상 원칙적으로도 검증할 수 없다. 그리하여 그들은 검증원리를 확인 가능성(確認可能性)으로 대치한다. 그러나 후자는 너무 느슨하여 제외하고자 하는 명제들까지도 지나쳐버리게 된다. 또한 이들은 경험을 개인적으로 해석하였기 때문에 경험과 실재(實在)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설명을 하여야 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빈학파가 해체됨에 따라 그러한 문제들은 하나의 강력한 철학적 입장으로서 논리실증주의를 어렵게 만들었다. 그러나 논리실증주의는 그 짧은 활동 기간에도 불구하고 분석철학으로 알려진 20세기의 경험주의(經驗主義) 발전에 기여하였다. 의미론(意味論)을 통한 논리와 세계의 관계, 수학과 논리명제 이해의 시도 등은 후세대의 작업에 기초를 마련하였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