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대습윤기후

냉대습윤기후

[ humid microthermal climate , 冷帶濕潤氣候 ]

요약 냉대기후의 한 종류로, 겨울철에 적설량이 많아 연중 강수량이 고른 기후.

쾨펜의 기후구분에서 냉대기후를 세부적으로 구분할때, 냉대겨울건조기후 등 다른 냉대기후와 달리 겨울철에 강수가 많아 연중 강수량 분포가 비교적 고른 기후를 말하며, 습윤대륙성기후, 아한대다우기후(亞寒帶多雨氣候)라고도 한다. 기후구분 기호로 Df로 표시하며, 냉대동계건조기후(Dw)에 비해 겨울철에도 온대저기압의 영향이나 또는 해양에서 오는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강수량이 많은 특징을 가지며, 대체로 대륙의 서안(西岸)에서 중앙에 이르는 지역에 많이 나타난다. 이 기후 구분의 기준은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이 가장 강수량이 많은 달의 10분의 1 이상으로 본다.

주로 유럽의 스칸디나비아 반도와 동유럽과 시베리아 서부, 그리고 아시아 대륙에서는 고위도에 위치하면서 해양의 영향이 큰 연해주와 캄차카반도 일대, 북아메리카 대륙의 서ㆍ북부 등에 나타난다. 냉대겨울건조기후와 마찬가지로 이 기후가 나타나는 위도대(緯度帶)에 대륙이 존재하지 않는 남반구에서는 볼 수 없고, 북반구에만 나타난다. 겨울의 추위는 냉대동계건조기후보다 약하지만 강설이나 눈보라 등으로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냉대동계건조기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교차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냉대습윤기후 본문 이미지 1
냉대기후한대기후툰드라기후빙설기후냉대습윤기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