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휴

김상휴

[ 金相休 ]

요약 조선 후기 문신. 시독관 · 수찬 · 응교, 공청우도의 암행어사를 지냈다. 통신사가 되어 일본에 다녀왔으며, 그 공로로 종2품 상계의 가의대부에 올랐다. 강화부유수 · 대사성 · 이조참판 · 대사간 · 경상도 관찰사를 지냈다.
출생-사망 ? ~ 1827
본관 광주
계용
초천
활동분야 행정

본관 광주(廣州). 자 계용(季容). 호 초천(蕉泉). 무택(茂澤)의 아들. 1803년(순조 3)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홍문록(弘文錄)에 올랐다. 1804년 홍문관교리로서 강화부안핵사(江華府按覈使)로 나갔고 1805~1808년 시독관(侍讀官) ·수찬 ·응교, 공청우도(公淸右道)의 암행어사를 지냈다. 1810년 통신사가 되어 일본에 다녀왔으며, 그 공로로 1812년 종2품 상계(上階)의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랐다. 1817~1822년 강화부유수 ·대사성(大司成) ·이조참판 ·대사간(大司諫) ·경상도관찰사를 지냈다. 1824년 정2품에 올라 형조판서 ·좌부빈객(左副賓客) ·좌참찬, 1825년 한성부판윤 ·의금부판사, 1826년 예문관제학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참조항목

순조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