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학

김병학

[ 金炳學 ]

요약 조선 후기 문신. 융통성이 많고 평소 흥선대원군과 가까웠으므로 이조판서, 뒤에 좌의정으로 승진되었다. 실록총재관으로《철종실록》과 찬집소 총재관으로 《대전회통》을 각각 완성했다. 보수적 척화론자로서 병인박해 때 천주교 탄압을 적극 주장하였다.
출생-사망 1821 ~ 1879
본관 안동
경교
영초
시호 문헌

본관 안동. 자 경교(景敎). 호 영초(穎樵). 시호 문헌(文獻). 이조판서 수근(洙根)의 아들. 1853년(철종 4)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장령(掌令) ·사간이 되었다.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아래에서 대사헌 ·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집권으로 안동김씨 일문이 거의 제거되었으나, 융통성이 많고 평소 흥선대원군과 가까웠으므로, 1864년(고종 1) 이조판서, 뒤에 좌의정으로 승진되었다.

실록총재관으로 《철종실록》을, 찬집소(纂集所)총재관으로 조두순(趙斗淳) ·이유원(李裕元)과 함께 《대전회통》을 각각 완성하였다. 보수적 척화론자로서, 1866년 병인박해 때 천주교 탄압을 적극 주장하였다. 영의정을 거쳐, 1875년 돈령부영사가 되어 한일수호조약 체결을 극력 반대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