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 민주주의

기본적 민주주의

[ basic democracy , 基本的民主主義 ]

요약 파키스탄의 대통령 M.아유브 칸에 의하여 실시된 정치제도.

1958년 10월 군사쿠데타에 성공한 아유브 칸은 헌법을 정지하고 의회와 정당을 해산한 뒤, 스스로 대통령이 되어 1959년 ‘기본적 민주주의’라는 새로운 정치제도를 구상하고, 1962년 6월 이 제도에 따라 대통령의 권한강화, 입법부에 대한 행정부의 우위, 간접선거방식의 채용, 정당활동의 제한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신헌법을 제정하였다. 이 신헌법의 시행에 따라 기본적 민주주의는 구체화되었다.

이 제도의 가장 특징적인 것은 간접선거 방식인데, 그 내용은 전국을 농촌과 중 ·소도시 및 대도시로 크게 나누고, 각 지역마다 1,000∼1,500명을 단위로 1명씩의 대의원(기본적 민주주의자:basic democrat)을 선출한 뒤, 이 대의원들로 구성되는 선거인단이 대통령 ·국회의원 ·주의회의원을 선출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국민의 문화생활수준이 낮은 국가에서는 서구식 의회민주주의는 부적당하다는 생각에서 채택된 것으로, 한동안 아유브 칸 정권의 안정제가 되었다. 그리하여 정권은 군부와 지주층에 의하여 독점되었고, 그 결과 1968년 11월부터 각지에서 학생과 야당 및 민중들에 의한 반정부운동이 격화되었다. 결국 1969년 3월 아유브 칸이 대통령직에서 물러남에 따라 기본적 민주주의도 소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