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 Gold Earrings from Bubuchong Tomb, Gyeongju , 慶州 夫婦塚 金製耳飾 ]

요약 신라의 순금제 귀걸이.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신라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크기 1쌍, 길이 8.7cm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순금 귀걸이 1쌍으로 길이는 8.7cm이다. 경주시 보문동에 있는 부부총(夫婦塚)에서 출토되어 부부총 태환금귀걸이라고도 한다.

태환식으로 속이 빈 굵은 구슬 귀걸이이고 수식(垂飾)이 달려 있으며 신라의 귀걸이 중에서도 뛰어난 수작품이다. 굵은 구슬의 전면에는 금 낱알로 귀갑무늬에 가까운 6각형으로 분할하여 장식을 넣었고, 그 6각형 안에 4잎 또는 3잎의 풀잎무늬와 같은 것을 1개씩 표현하였다. 이 3잎의 풀잎무늬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풀무늬와 흡사하다.

귀걸이의 몸체가 되는 이 구슬에는 가느다란 통쇠고리를 맞물려 달고, 다시 2단으로 된 주판알 같은 것의 둘레에 속잎 모양의 작은 장식을 무수히 금실로 꿰어단 장식물을 늘어뜨렸으며, 이 수식 맨 끝마다 하트형의 장식을 1개씩 달았다. 이 의장은 귀걸이가 움직일 때마다 속잎 모양의 구슬들이 찬란한 금빛을 내도록 고안한 것이다. 이 중간 통쇠고리에도 3엽(三葉)무늬 누금(鏤金:맞물려 쌓이게 만든 금 장식) 장식을 하였고, 속잎 모양의 갖가지 장식 둘레에도 누금세공을 빠짐없이 하였다.

이 귀걸이의 원류를 더듬어 올라가면 353년의 고구려 고분에서 이미 속이 빈 굵은 구슬 귀걸이가 발견되었고,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당나라 유물 중에도 신라의 굵고 가는 여러 귀걸이와 거의 같은 황금 귀걸이가 있다. 따라서, 신라의 귀걸이는 중국 한나라 시대의 이당(耳璫 :귀걸이 구슬)이 그 원류라고 할 수 있고, 이것이 고구려를 거쳐 신라에서 기법이 크게 발전하여 귀인들 사이에 크게 유행하였으며, 돌로 쌓아 도굴이 불가능한 적석총(積石塚) 구조 덕분에 많이 유존되어 있다. 신라의 금귀걸이는 대개 수식 부분에 누금세공법을 약간씩 베푼 예는 많으나, 고리와 수식 전체에 걸쳐 호화 정교한 누금법을 한 보기로서는 이것이 대표적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역참조항목

귀고리, 누금세공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