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 Gold Buckle from Seogam-ri, Pyeongyang , 平壤 石巖里 金製 鉸具 ]

요약 순금 비취옥으로 만든 낙랑시대의 허리띠 장식.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삼국시대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크기 길이 9.4cm, 나비 6.4cm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길이 9.4cm, 나비 6.4cm. 1916년 평안남도 대동군 석암리 제9호 고분에서 출토되었다. 이것은 필리그리(filigree)라고 하는 누금세공품(鏤金細工品:서로 맞물려서 만든 금 세공품)으로, 금판을 앞은 둥그스름하고 뒤는 직사각형과 같은 원틀에 놓고 두드려서 칠용(七龍)무늬가 나타나게 한 다음에, 그 위에 금실과 금알갱이로 장식한 것이다. 장식의 으뜸된 무늬는 칠용무늬이며, 중심부의 용은 크고, 다른 6용은 작아 큰 용을 어미 용, 작은 용은 아들 용이라고 하는 견해도 있다. 아무튼 칠용무늬가 허리띠 금구(金具) 위에서 굽이치게 배치하고, 그 사이의 바탕에는 작은 우점형(雨點形) 금테두리를 마련하여, 그 안에 곱게 빛나는 비취옥을 박았으나, 현재 원상태로 비취옥 장식이 남은 곳은 7군데뿐이다.

그러나 찬란한 황금색과 비취옥의 오묘한 녹색의 배색, 또한 빗방울 모양의 비취옥에서 풍기는 미소 같은 분위기에 휘감긴 칠용무늬의 조화를 잘 이루고 있다. 원래 여기에 베푼 누금세공법은 고대 그리스이집트의 세공품에서도 볼 수 있는 장식의장으로서, 이러한 서양 기법이 언제, 어떻게 전해졌는지 분명하지는 않으나, 중국 한나라 시대의 이 교구와 국보로 지정된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가 그 대표적인 유물이고, 이것이 후자보다 4∼5세기 앞서는 것으로, 신라 누금세공의 원류라고 추정된다. 다만, 이것이 한국에서 발견되었으나 한나라의 한족 유물이므로 한국공예에 넣을 수는 없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역참조항목

교구, 한국의 공예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이미지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 본 저작물은 문화재청에서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로, 해당 저작물은 문화재청 누리집(홈페이지)(http://www.heritage.go.kr)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출처: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