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관

금동관

[ 金銅冠 ]

요약 금동으로 만든 관.
나주 신촌리 금동관

나주 신촌리 금동관

고구려의 금동관으로는 평양(平壤) 부근 고분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하는 투각 초화문 금동관(透刻草花文金銅冠)을 들 수 있다. 머리에 쓰는 가는 대륜(臺輪) 위에 풀과 꽃무늬를 투각한 2개의 금동관을 세워 반타원형을 이루고 앞은 열려 있다.

평안남도 중화군(中和郡) 진파리(眞坡里) 고분에서 출토된 금동투각 봉(龍鳳)무늬 관형장식은 비행기의 꼬리날개 같은 투각 금관을 좌우에 붙인 형태로서, 중앙에는 연주(聯珠)를 돌린 원 속에 태양을 상징하는 삼족오(三足烏)를, 연주와 연주 사이 넓은 공간 위에는 봉황(鳳凰)을, 아래에는 용 2마리를, 그리고 남은 공간에는 운기(雲氣)무늬 같은 무늬를 각각 투각하여 배치하였다. 특히 투각무늬 뒤에는 비단벌레 겉날개를 붙여서 무늬에 도금된 금색과 함께 영롱한 오색빛을 내고 있다. 비단벌레 겉날개를 투각무늬 바탕에 까는 수법은 신라의 작품에서도 볼 수 있는데, 투각무늬의 동적이고 활기찬 수법은 고구려 고분 벽화의 수법과 같고 한나라 때 칠기의 칠화(漆畵) 수법과도 상통한다.

또 하나, 평양 청암리(淸岩里) 출토라고 전하는 금동투각관(金銅透刻冠)이 있다. 넓은 대륜에는 하단에 연주무늬대를 돌리고, 그 위에는 당초무늬를 투각하였다. 대륜 위에는 불상광배(佛像光背)의 화염형(火焰形)으로 투각한 입화식(立花飾)을 5개 세우고, 따로 꽃 모양으로 2줄을 세웠다. 이상의 특징들은 고구려인의 생활풍습이나 기질에서 기인하는 것이지만, 중국문화를 수용한 데도 많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나주시 반남면(潘南面) 신촌리(新村里) 옹관(甕棺)에서 발견된 금동관은 내관(內冠)과 외관(外冠)으로 구성되었고, 내관은 반원형동판(半圓形銅板)을 좌우에서 붙여서 모자같이 머리에 쓰게 만들고, 그 표면에는 꽃 모양을 장식하였다. 외관에는 역시 꽃무늬를 장식하고 달개[瓔珞]를 단 테를 만들어 그 위에 3줄 입화식(立花飾)을 세웠다. 입화식은 3줄기 동판을 세워 그 꼭대기 부분과 좌우에 심엽형(心葉形) 동판을 붙였고, 좌우의 줄기에서는 가지가 뻗어 끝은 꽃잎같이 되었는데 이들 입화식에는 원형 달개를 달았다. 입화식을 세운 점은 고구려 관의 형식과 같으나, 입화식 자체의 형식이나 내관의 형태 등은 오히려 신라의 관에 가깝다. 입화식을 세우는 관의 형식이 북방 유목민족의 관 형식에서 시작된 점을 생각할 때 신라 관의 수목형 입화식보다는 고형(古形)이라 할 수 있다.

참조항목

고구려미술, 금관

카테고리

  • > > >

관련이미지

가야 금동관

가야 금동관 지산동 32호 고분 출토.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