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공예

고구려의 공예

고구려 초기의 글자가 새겨진 벽돌

고구려 초기의 글자가 새겨진 벽돌

고구려의 공예품 중 장신구류에서 주목되는 것을 추려보면, 평양 부근의 고분에서 드러난 투각초화무늬 금동관[透刻草花文金銅冠]과 평양의 청암동토성(淸巖洞土城)에서 발견된 투각화염무늬 금동관[透刻火焰文金銅冠] 및 고분에서 드러난 금동귀걸이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중화군 진파리 제7호분에서 출토된 투각용봉무늬금동관형장식[透刻龍鳳文金銅冠形裝飾]이 있는데 그 용도는 분명하지 않다. 투각초화무늬 금동관은 폭이 좁은 금동관대에, 초화무늬를 투각한 금동입식을 앞면과 좌우에 각각 하나씩 세우고, 이 앞면의 입식에 접하여 뒷면 좌우에 투각한 사각형 장식을 각각 하나씩 부착한 구조의 것으로, 앞면 좌우의 입식 윗부분이 안으로 굽은 모양은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 흔히 보이는 절풍(折風)과 같은 인상을 준다. 또 투각화염무늬 금동관은 폭이 넓은 금동관대에 화염무늬를 투각한 금동입식 9개를 세우고, 관대 좌우에 옷고름 같은 수식을 각각 하나씩 달았다. 그리고 관대의 상단 둘레에는 인동무늬를 투각하고 하단 둘레에는 연주무늬[連珠文]을 돌렸으며, 상 ·하단의 중간에는 같은 간격으로 꽃모양 장식 7개를 배치하여 변화를 주었다. 이 금동관의 투각화염무늬 입식은 백제 무령왕(武寧王)의 관식(冠飾)과도 기본적으로 통하고, 또 중국 북위(北魏)의 금동삼존불(金銅三尊佛)의 광배에서도 볼 수 있다. 투각용봉무늬 금동관형 장식은 관모형을 이루고 있는데, 중앙에는 2겹의 주문대 원형(珠文帶圓形) 안에 태양을 상징하는 세발까마귀를 두고, 그 테두리에는 불꽃 비슷한 구름무늬를 새겼으며, 구름무늬 속의 윗부분에는 봉황, 아랫부분에는 용 2마리를 각각 배치하였다. 그리고 테두리에는 다시 넓고 좁은 2겹의 테를 두르고 그 사이에 구슬무늬[珠文]을 양각하였다.

무늬는 정교하고 치밀하며 유려한 흐름을 보여준다. 이 금동관 뒤에는 같은 형태의 나무관을 댔는데, 금동관과 나무관 사이에 비단벌레의 날개를 깔아 금녹색의 바탕을 만들어, 이것을 배경으로 하여 금동관을 두드러지게 한 세련된 솜씨이다. 비단벌레의 날개를 장식에 쓰는 수법은 신라의 금관총(金冠塚)에서 드러난 마구에도 보이고, 또 일본의 호류사[法隆寺]의 불감(佛龕)에서도 보이나, 그것은 한국 기술을 도입하여 이룬 것이다.

한편 금동귀걸이에는 신라에서 볼 수 있는 태환식(太鐶式)은 없고 모두가 가는고리식[細鐶式]이며, 가는 고리에 작은 고리를 달고 그 고리에 각추(角錐) 같은 장식을 매단 것이 기본형이다.

는 백제 ·가야 ·신라에 비하여 장기간에 걸쳐 존속하였고, 또 넓은 영역을 차지하였으나 그 유품은 지극히 드물다. 주거지나 고분에서 발견된 유품을 보면, 부분적으로는 사리기[卷上法]에 의하여 성형하고, 낮은 온도에서 산화염(酸化焰)으로 구워낸 것도 있으나, 물레를 써서 성형하고 밀폐에서 높은 온도로 구워낸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한식(漢式) 계통의 전통을 이은 회색연질(灰色軟質土器)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회도(灰陶) ·흑회도(黑灰陶) ·황록유도(黃綠釉陶) ·채문도(彩文陶) 등이 알려지고 있다.

사리기법으로 만든 적갈색 도 있으나 주가 되는 것은 물레를 써서 성형한 이다. 가는 모래를 약간 섞고 차진 진흙을 잘 이겨서 만든 바탕흙에, 예새 같은 것으로 간 자리가 보이는 갈색마연토 흑색마연가 그것이다. 종류는 아가리가 넓적한 깊은 바리 모양의 단지 ·접시, 목이 짧고 배가 통통한 흑색마연도호, 네 귀가 달린 단지, 큰 띠손잡이가 4개 달린 시루, 뚝배기 ·보시기 등 다양하다. 황록유도는 도기에 황록유(釉)를 올린 것으로 종류에는 단지, 네 귀 달린 단지, 반(盤) 등이 있다. 채문도는 채색 돋을무늬의 도기로서 토포리대총(土浦里大塚)에서 드러난 뚜껑 2점 중의 하나는, 꼭지의 둘레에 8잎의 연꽃무늬를 그렸고, 측면에는 일종의 꽃모양의 무늬를 배치하였으며, 다른 하나는 앞의 것과 흡사하나 꼭지를 중심으로 연꽃무늬를 부각시켰다. 이 뚜껑의 무늬들은 우아하며 세련된 솜씨를 보여준다.

이 밖에 고구려의 도기 중에는 부뚜막 ·벼루 ·기대(器臺) 및 각종 명기(明器) 등이 있다. 다음은 와 벽돌 공예이다. 이는 중국 퉁거우지방의 고구려 유적과, 평양 원오리사지(元五里寺址) 및 안학궁지(安鶴宮址)를 비롯한 평양의 근교유적에서 많이 드러났다. 는 중요한 건축부재의 하나로서 그 용도에 따라 수키와 ·암키와 ·막새 ·치미(鴟尾) ·귀면 ·제형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훌륭한 공예품이다. 에는 다양한 무늬를 놓았는데 암키와에는 식물무늬 ·기하무늬 및 기타 무늬를 부각시켰다. 식물무늬로는 이깔잎무늬 ·넓은잎무늬 ·꽃무늬 같은 것이 보이며, 기하무늬로는 노끈무늬 ·돗자리무늬 ·멍석무늬 ·사격무늬 ·사각무늬와 원무늬 ·물결무늬 등이 흔하다. 기타 무늬에는 귀면 ·새 ·화염 같은 것이 보인다. 수키와에는 간단한 돋을 무늬의 것이 있다.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막새이다. 막새에는 여러 무늬를 부각시켰으며, 그것은 대체로 연꽃무늬 ·인동무늬 ·귀면무늬 및 그 밖의 무늬로 나눌 수 있다. 다음은 귀면판이다. 이는 사각형과 구형의 판에서 아랫부분의 중앙을 반달형으로 도려 낸 2가지 모양이 있다. 귀면판에는 무섭고 흉물스러운 귀면이 부각되어 있으며, 귀면의 양미간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은 이 판을 추녀마루나 두공(枓栱)에 붙이기 위한 것이다. 치미에는 큰 것과 작은것의 2가지가 있으며, 안학궁과 평양 부근에서 발견되었다.

벽돌에는 사각형 벽돌 ·직사각형 벽돌 ·부채꼴 벽돌 등이 있다. 사각형 벽돌은 금강사지(金剛寺址)에서 발견되었는데, 집바닥 전면에 깔려 있었다. 직사각형 벽돌은 퉁거우 ·평양 등의 고구려 유적에서 발견된 것으로 무늬를 돋치거나 글귀를 새긴 것이 많다. 무늬는 대체로 기하무늬와 식물무늬로 나뉜다. 기하무늬로는 둥근 돈을 띠로 이어댄 돈띠무늬, 겹선으로 사격 또는 방격무늬를 놓고 그 속에 마름모형을 새긴 능형무늬가 대부분이다. 식물무늬로는 연꽃무늬 ·인동무늬 등이 흔히 보인다. 직사각형 벽돌에는 글자를 새긴 것도 있다. 태왕총(太王塚)에서는 ‘願太王陵安如山固如岳’이라고 쓴 벽돌이 나왔고, 천추총(千秋塚)에서는 ‘千秋萬歲永固’라고 쓴 벽돌이 나왔다. 이 벽돌들은 모두 이 무덤 주인공의 명복을 빌어 만든 것이다. 부채꼴 벽돌은 직사각형 벽돌이 한쪽으로 휜 모양으로 된 것이다. 그리고 바깥 옆면과 안쪽 옆면에 인동무늬를 여러 가지로 변형시킨 무늬를 부각한 것이 있다.

이 밖에 고구려의 공예에서는 옥공예(玉工藝)와 옻칠공예도 찾아볼 수 있는데, 옥공예품으로는 중국 지안[集安]에서 발견된 백옥귀잔이 있으며, 옻칠공예품으로는 안악 제3호분 ·강서중묘(江西中墓) ·퉁거우 제12호분에서 출토된 칠판에 쓴 것으로 보이는 칠화 조각이 알려졌다. 강서중묘의 칠화 조각은 검은 칠을 두껍게 먹이고, 그 위에 흰색과 붉은색을 가지고 인동무늬와 날개를 활짝 펴고 있는 봉황을 화려하게 그렸다. 이러한 공예품 이외에, 고구려 금속공예의 일단을 엿볼 수 있는 금속공예품 1점이 신라 호우총(壺杅塚)에서 발견되었는데, 명문이 있는 청동호우(靑銅壺杅)이다. 깊숙한 물체에 뚜껑이 달린 합(盒)으로 몸체와 뚜껑의 표면에는 삼중의 동심횡대(同心橫帶)가 돌려 있고, 뚜껑 중앙에 달려 있는 오똑한 구형(球形) 꼭지는 연꽃에 싸여 있으며, 합 바닥에는 광개토왕(廣開土王)을 위해 만든 것으로 해석되는 명문이 양각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구려의 공예는 수준이 높았다.

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