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무용

궁중무용

[ 宮中舞踊 ]

요약 궁중을 중심으로 발전·계승된 춤.
궁중무용

궁중무용

정재(呈才) 또는 정재무(呈才舞)라고도 한다. 민간에서 연희되던 민속무용과 대응하는 춤이다. 궁중무용이라는 개념은 왕권정치의 체제가 성립한 삼국시대 이후 나라의 각종 행사나 의식, 궁중의 연례 등에 춤이 쓰이면서부터 틀이 잡혀가기 시작하였다. 처음에는 의식의 한 절차로 만들어지고 연희되었으나 세월의 흐름에 따라 본연의 목적인 의식과 행사는 소홀해지고 그에 따른 춤이나 음악만이 남아 독립적으로 발전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궁중무용은 조선 후기 순조 때, 부왕(父王)을 즐겁게 하기 위하여 진연(進宴) 때마다 새로운 정재를 만들어 바쳤다는 익종(翼宗)에 의하여 황금기를 이루었다. 궁중무용은 유형적 형태에 따라 당악무용(唐樂舞踊)과 향악무용(鄕樂舞踊)으로 나눌 수 있다. 당악무용은 고려 문종 때 송(宋)나라로부터 도입된 춤으로 춤의 시작과 끝을 죽간자(竹竿子:舞具의 하나, 또는 그것을 든 사람)가 인도하고, 한문으로 된 창사(唱詞)를 부른다.

향악무용은 한국 고유의 춤으로 조선 세종 이후 체계화되었으며, 무원(舞員)들은 죽간자의 인도 없이 무대에 등장하여 한글 가사로 된 창사를 부르다가 면복흥퇴(俛伏興退:꿇어앉아 엎드려 절하고일어나서 퇴장함)의 형식으로 퇴장하는 춤이다. 그러나 조선 말에 이르러서는 죽간자의 유무(有無)에 관계 없이 무원의 동작이 같아졌고 한문 창사가 보편화되는 등 각 정재에 따른 독특한 진행과 대형(隊型)은 있지만 전대(前代)까지의 향악무용·당악무용의 구별은 없어졌다. 이것은 춤다운 춤, 즉 민족적 정서를 살린 한국 고유의 예술성을 형상화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오늘날 궁중무용으로 통칭되는 이들 양 정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춤의 주제가 개인의 감정이나 정서의 표현에 있지 않고, 조종(祖宗)의 공덕을 칭송하거나 군왕(君王)의 장수(長壽) 등을 기원하는 데 있다. ② 담담하고 유유한 장단과 우아한 춤가락을 가졌으며, 사고력과 유현미(幽玄美)를 감지시킨다. ③ 춤을 추는 도중 춤의 내용을 담은 창사(唱詞)를 부른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춤으로, 현재 국립국악원(國立國樂院)에 《검무(劍舞)》 《처용무(處容舞)》 《무고(舞鼓)》 《포구락(抛毬樂)》 《수연장(壽延長)》 《춘앵전(春鶯囀)》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학무(鶴舞)》 등 50여 종이 전해진다.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