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인전목단

가인전목단

[ 佳人剪牧丹 ]

요약 궁중무용.

중국 송(宋)나라 태조(太祖) 때 도곡(陶穀)이라는 한림학사가 봉조(奉詔)하여 제작한 것을 조선 순조 29년(1829)경 효명세자가 본떠 만든 무용으로 정재(呈才) 때 추었다. 무대 중앙에 활짝 핀 모란의 화준(花樽:꽃병)을 놓고 8인의 무원(舞員)이 편을 짜고 꽃을 희롱하는 춤이다. 음악이 풍경지곡(豊慶之曲)을 아뢰면 전원이 앞으로 나아가 염수족도(斂手足蹈)하고 서는데, 그때 음악은 그치고 창사(唱詞)를 부르면 무용이 시작되고 교선무(交旋舞) ·원화무(圓花舞) ·향화무(向花舞) ·상대무(相對舞) ·상배무(相背舞) ·농화(弄花) ·집화무(執花舞) ·회선무(回旋舞)를 추며, 음악도 처음의 풍경지곡으로 시작하여 함녕지곡(咸寧之曲) ·타령(打令) 등으로 바뀌며 연주된다. 복식은 머리에 금봉관(金鳳冠)을 쓰고, 색의(色衣)를 입는다.

참조항목

궁중무용, 창사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