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속오례의

국조속오례의

[ 國朝續五禮儀 ]

요약 조선 초기 성종 때 편찬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수정·보완하여 영조 때 편찬한 책.
구분 목판본
저자 이종성 등
시대 조선 후기

목판본으로 5권 4책이다. 규장각에 있는 《국조속오례의》는 4권 2책으로 이 책과 내용에서 약간 다르나 규장각본에 없는 내용이 이 책에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규장각본을 더 보완한 것으로 보인다.

성종 때 편찬된 《국조오례의》가 오랜 시간을 경과하는 동안 예(禮)의 척도가 달라지고 시대에 맞지 않게 되자 1744년(영조 20)에 당시 예조판서 이종성(李宗城) 등에게 명하여 신하들이 새로운 예론과 의식 방법 등을 개정하고 추가하여 편찬하였다.

책의 구성은 제1권에 윤급(尹汲)이 쓴 어제서(御製序)와 서례(序例) ·고이(考異) 및 길례(吉禮)가 기록되어 있고, 제2권과 3권에는 가례(嘉禮), 4권에는 빈례(賓禮)와 군례(軍禮), 5권에는 흉례(凶禮)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그리고 맨 끝에 이 책을 편찬하는 데 참여한 인물들의 명단이 기술되어 있다.

기술 방법에 있어서 국조오례의를 그대로 인용할 경우에는 ‘원서(原書)’로 표현하였고, 후대에 수정된 내용에 대하여는 ‘고이(考異)’라고 표현하여 각 권 말미에 따로 수록함으로써 국조오례의와 상호 비교가 가능하도록 편찬하였다. 또한 항목이 증가된 것과 수정한 내용에 대하여는 그림을 그리고 보충 설명을 함으로써 이해를 높였다. 이 책은 조선 전기의 《국조오례의》와 비교하여 조선 후기에 어떻게 의례가 달라지고 있는가의 변천사항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역참조항목

홍무예제, 이철보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