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 원고

국어문법 원고

[ Manuscript of Gugeo munbeop (Korean Grammar) , 國語文法 原稿 ]

요약 1909년 주시경(周時經)이 지은 문법서(文法書). 2012년 12월 24일 국가등록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어문법 원고와 한글맞춤법통일안

국어문법 원고와 한글맞춤법통일안

구분 활자본, 문법서
지정종목 국가등록유산
저자 주시경(周時經)
지정일 2012년 12월 24일
시대 1909년
소장 사단법인 한글학회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3길 7 한글학회
종류/분류 등록유산 / 기타 / 동산

활자본. 1책. 내용은 소리갈[音聲論] ·기난갈(씨갈:品詞論) ·짬듬갈(월갈:構文論) 등 3가지로 크게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는 현대문법의 종합적인 체계를 개척하여 오늘날 정서법의 자리를 굳힌 ‘한글맞춤법통일안’의 기본이론을 세운 저술이다.

그 중에서도 국어의 품사를 9개로 가른 품사분류 방법은 특색 있는 것이다. 곧, 임[名詞] ·엇[形容詞] ·움[動詞] ·겻[助詞] ·잇[接續詞] ·언[冠形詞] ·억[副詞] ·놀[感歎詞] ·끗[終止詞]이 그것이며, 문법용어를 순 한글로 표기한 점도 국어문법사상 처음으로 시도된 것이다. 1911년 12월에 약간의 수정을 가하고, 《조선어문법》으로 개제(改題)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