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슬라브어

교회슬라브어

[ Church Slavonic language , 敎會─語 ]

요약 고대교회슬라브어가 점차 각 지방 방언의 색채를 띠며 형성된 중세 슬라브어.
원어명 Kirchen-slawisch(독)

교회슬라브어는 고대교회슬라브어에서 발달하여 12세기 이후 지방적인 슬라브 문장어와 슬라브 방언의 영향을 받은 러시아 교회슬라브어·세르비아 교회슬라브어·불가리아 교회슬라브어 등과 같은 고대교회슬라브어의 새로운 지역적 변종이다. 또 후대에 국민적인 문장어가 형성될 때까지 동방정교회권 슬라브인 및 가톨릭교도 크로아티아인의 문학 활동의 주요한 표현 수단이 되어, 본디 교회 전례용어가 가진 기능의 한계를 초월하게 되었다.

교회슬라브어와 고대교회슬라브어는 연대적·기능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언어이다. 두 언어는 역사적인 연속성과 초국가적 문장어의 성격과 종교적인 기능에 의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고대교회슬라브어는 슬라브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장어로서, 10세기와 11세기의 교회 문헌의 사본(寫本) 텍스트 형태로 현존한다.

대표적인 문헌으로, 러시아 교회슬라브어로 된《오스트로미르 복음서》(12세기), 불가리아 교회슬라브어로 된 《도브로미르 복음서》(12세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