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무제

광무제

[ 光武帝 ]

요약 후한의 초대 황제(재위 25∼57). 왕망의 군대를 격파하고 즉위해 한왕조를 재건, 36년에 전국을 평정했다. 중앙집권화를 꾀했다. 학문을 장려하고, 유교존중주의를 택해 예교주의의 기초를 다졌다.
광무제

광무제

출생-사망 BC 6 ~ AD 57
국적/왕조 중국, 후한
재위기간 25년∼57년
본명 유수
별칭 자 문숙, 묘호 세조, 시호 광무
활동분야 정치

자 문숙(文叔). 묘호 세조(世祖). 시호 광무. 성명 유수(劉秀). 전한(前漢)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9세손이다. 전한은 1세기 초 왕망(王莽)에게 나라를 빼앗기고 멸망하였으며, 왕망은 (新)이라는 왕조를 세웠다. 그 신의 말년에 각지에서 군웅(群雄)이 거병(擧兵)하였을 때, 유수도 허난성[河南省] 난양[南陽]의 호족(豪族)과 손을 잡고 봉기하였다. 각지로 전전(轉戰)한 끝에 허베이[河北]·허난·후베이[湖北]에서 세력을 폈으며, 허난의 쿤양[昆陽]에서 왕망의 군대를 격파하고, 25년 허난의 뤄양[洛陽]에서 즉위하여 한왕조(漢王朝)를 재건하였다.

그러나 세력범위는 허베이·허난·산시[陝西]뿐이었으며, 촉(蜀)의 공손술(公孫述), 농서의 외효(隗浴), 하서(河西)의 두융(竇融) 등이 할거(割據)하고, 또 적미(赤眉)를 비롯하여 왕망 때부터의 유적(流賊)들이 날뛰고 있었다. 즉위한 후 10년 동안 이들의 세력을 진압하는 데 주력하여 36년 전국을 평정하였다.

왕망의 가혹하였던 정치를 폐지하고 전조(田租)를 인하하는 한편, 간전(墾田)의 측량 등을 행하여 통일국가의 충실을 기하였으며, 군병(郡兵)을 내어 중앙집권화(中央集權化)를 꾀하였다. 또한 학문을 장려하고 명예와 절조를 중히 여기는 유교존중주의(儒敎尊重主義)를 택함으로써, 후한의 특색이 되는 예교주의(禮敎主義)의 기초를 다졌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