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문

관문

[ 關文 ]

요약 관서(官署) 상호간에 수수되는 관용문서.

관(關)이나 관자(關子)라고도 한다. 주로 동등 이하의 관서에 보낼 때 사용하며, 하급관청에서 상급관청으로 올리는 문서는 첩정(牒呈)을 썼다. 두 관청간에 필요한 사무를 상고(相考)하여 시행하기 위한 문서가 주종이며, 오늘날의 공문서와 비슷하다. 동등한 관청에 올리는 관문은 평관(平關), 예조에 보내는 관문은 예관(禮關)으로 칭했다.

관문의 일반적인 양식을 보면, 첫머리에 관문을 보내는 관청명을 쓰고, 말미에 관문을 수취하는 관청명과 날짜, 문서를 발송하는 관청의 관자인(關字印) ·수결(手決)을 썼다.

현재 관문은 규장각 등에 소장된 고문서에 상당한 분량이 남아 있으며,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에도 관문의 원문이 전제된 것이 있다. 규장각도서 중에는 《강원감영관첩(江原監營關帖)》 《경상감영관첩(慶尙監營關帖)》 등 관문이 등록된 자료들이 많이 소장되어 있다. 관문은 1차 사료라는 점과, 하급관청의 주요 업무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크다.

참조항목

공문서

역참조항목

관초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