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실업

고용·실업

[ employment;unemployment , 雇傭失業 ]

요약 근로자가 채용되어 있는 상태(고용), 채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실업).

고용 ·실업이 경제학상 커다란 문제로서 부각된 배경은 1930년대의 세계적 불황하에서의 실업이 만성화한 데에 있었다. 1936년에 발표된 J.M.케인스의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 종래의 고전파 경제학의 상식을 타파하여 불완전고용 하에서의 균형 성립을 논증하고 실업문제를 사회적 ·정책적인 차원으로 파악하였다. 그 후 고용 ·실업 문제는 경제학의 중심 과제가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