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기후

고산기후

[ alpine climate , 高山氣候 ]

요약 산림한계고도 이상의 고산지방 기후이다. 기온의 일변화와 연변화가 작고, 수증기량은 적으나 상대습도가 커서 구름, 안개가 잘 생기고 풍속과 일사가 강하다. 양지와 음지의 뚜렷한 일조 차이는 경작지와 취락 분포에 큰 영향을 준다.

삼림한계고도보다 높은 고지의 기후를 가리키며, 그 이하는 산악기후라 한다. 중위도 지방에서는 2,000m 이상 되는 산에서 나타난다. 기온은 고도가 100m 올라갈 때마다 약 0.6℃씩 내려가며, 기온의 일변화나 연변화는 작다. 수증기의 절대량은 적으나 상대습도가 크며, 구름·안개가 생기는 일이 많고, 풍속도 일반적으로 강하다. 세진(細塵)은 적고 일사(日射)는 강하며, 특히 자외선을 많이 포함한다.

양지와 음지에서는 일조(日照)가 뚜렷하게 다르기 때문에 경작지나 취락 분포에 큰 영향을 준다. 식물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낮은 곳에서는 침엽수활엽수가 섞여 있던 것이 침엽수만 남게 되고, 나무의 키가 작아지며, 더 높아지면 지의류(地衣類)나 이끼류가 자라고, 그 사이에 삼림이 간혹 있을 정도이다.

더욱 높은 곳에서는 삼림이 없어진다. 이것이 수직수목한계(垂直樹木限界)이다. 인간의 가주한계(可住限界)는 남아메리카의 안데스산지로서 5,100m이다. 약 3,000m 이상의 고산에서는 고산병이 나타난다.

고산기후 본문 이미지 1
고산기후한대기후냉대기후온대기후건조기후열대기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