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서학

고문서학

[ diplomatics , 古文書學 ]

요약 여러 가지 형식과 내용으로 된 고문서의 분류 ·의미 ·효력 ·전래(傳來)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 ·체계화하는 학문.

고문서학의 역사는 먼 옛날까지 거슬러 올라가나, 역사학의 보조과학으로서의 고문서학이 확립된 것은 유럽에서나 동양에서나 19세기 이후의 일이다. 원래 고문서는 과거의 문서라는 뜻이며, 그 문서는 본질적으로 편지, 즉 서간(書簡)을 의미하는데, 그것을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지위신분, 또는 문서의 내용 등에 따라 여러 형식이 있고, 시대적 변화도 심하다. 뿐만 아니라 사용된 종이 ·용어 ·수결(手決) ·인장(印章) 등도 천차만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