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음악

고려시대음악

[ 高麗時代音樂 ]

요약 고려시대 전반에 걸친 음악.
편종

편종

초기에는 신라의 음악을 거의 그대로 답습하였으나, 예종(睿宗) 이후 중국의 각종 음악이 유입됨에 따라 당악(唐樂) ·향악(鄕樂) ·아악(雅樂) 등 세 가지로 구분되고 각각 독자적인 발전상을 보였다.

향악
향악은 《고려사》 <악지(樂志)> 등에 속악(俗樂)이라는 이름으로 《동동(動動)》 《무애(無顫)》《서경(西京)》 《오관산(五冠山)》 등 수십 곡이 전하며, 이들 곡은 거문고 ·비파 ·가야금 ·대금 ·장구 등 향악기로 연주되었다. 《대악후보(大樂後譜)》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의하면, 향악은 선율이 곱고 아름다우며 남녀의 사랑을 노래한 것이 많다고 하였다. 이들 향악곡은 오늘날 거의 전승되지 못하고 끊어졌으나, 《풍입송(風入松)》 《만전춘(滿殿春)》 《서경별곡(西京別曲)》 등 일부 곡은 근세 조선의 제례악에 편곡되어 지금까지도 연주되고 있다.


아악
아악은 중국 송나라 궁중에서 제사를 지낼 때 쓰던 제사음악으로, 한국에는 1116년(고려 예종 11) 대성아악(大晟雅樂)이라는 이름으로 전해졌다. 그후 원구(圓丘) ·사직(社稷) ·태묘(太廟) ·선농(先農) 등 궁중의 제사와 국가적 연향(宴享)에 사용되었다. 조선 초에 이르러 이 음악에 쓸 악기가 부족하고, 악기끼리 조율도 맞지 않는 등 음악적으로 미비한 점이 드러나자, 세종 때 박연(朴堧) 등이 원제(原制)인 중국 주나라 때 아악에 가깝게 재현시켰다.

편종(編鐘) ·편경(編磬) ·축(祝) ·어(棘)와 같은 아악기로 연주되며, 12율 4청성(四淸聲)을 사용한 7음음계 구성이고, 주음으로 시작해서 주음으로 마치는 음악적 특징을 지녔다. 현재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으로 전통을 잇고 있다.  

당악
당악은 원래 당나라음악이라는 뜻이지만, 송나라에서 들어온 사악(詞樂)까지도 포함한다. 《고려사》 <악지> 등에 《석노교곡파(惜奴嬌曲破)》 《만년환만(萬年歡慢)》 《억취소(憶吹簫)》 등 수십 곡이 전하며, 비파 ·공후 ·쟁 ·적 ·지 등 당악기로 연주되었다.

사악은 대개 환두형식(換頭形式)으로 규칙적인 장단을 가졌고, 16장단마다(古樂譜로는 八行) 규칙적으로 박이 들어가는 특징을 지녔다. 향악곡과 마찬가지로 대부분 전승되지 못하고, 《보허자(步虛子)》 《낙양춘(洛陽春)》의 두 곡만이 거의 향악화된 채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