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제실험

결제실험

[ defect experiment , 缺除實驗 ]

요약 어떤 생물계의 일부를 제거하고 나머지 부분에 주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는 실험방법이다. 주로 실험발생학에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발생 초기의 동물배의 할구를 제거하여 나머지 부분의 조절능을 검사하는 것은 오래된 방법이다.


적제(摘除)실험·제거(除去)실험이라고도 한다. 실험발생학에서는 일정한 배역(胚域) 또는 원기(原基)의 예정의의(豫定意義)를 알기 위하여, 또는 그 밖의 배역의 발생에 대한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그 배역을 적당한 시기에 제거하든지 가열한 바늘·방사선의 국부조사 등으로 죽이고 나머지 부분의 발생을 관찰·측정한다.

예를 들면 발생 초기의 동물배의 할구를 제거하여 나머지 부분의 조절능을 검사하여 조절란·모자이크란을 구별하는 일은 오래전부터 시도되었다. 또 양서류의 신경배에서 신경습(神經褶)의 일부를 수술적으로 제거하면 그 수술개소 수준에서는 색소포가 생기지 않는 것과 색소포가 신경습에서 유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알았다. 그 밖에 양서류에서 안포(眼胞)의 예정역을 신경배 초기에 제거하면, 후에 안포가 결손되는 동시에 렌즈가 생기지 않았다. 이 결과는 안포에서 생긴 안배가 렌즈를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결제실험은 내분비학에서도 많이 사용되는데, 특정한 내분비기관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여 일어나는 결손상태로부터 그 기관의 기능을 조사할 수 있다. 하나의 기관 결제 결과로 일어나는 변화(예를 들면 이자 결제에 의한 당뇨병)가 다시 다른 기관(예를 들면 뇌하수체)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것은 많은 내분비기관이 일정한 현상에 협동작용을 영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거는 외과적 수단만이 아니라 화학적 처리, 또는 면역학적 처리에 의한 기능저하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결제실험은 소극적인 자료를 얻는 것이므로 적극적인 자료를 얻게 되는 이식(移植)실험·외식(外植)실험 등으로 보정한다. 결제실험에서 제거한 부분에 주목하는 경우를 분리실험이라고 한다.

참조항목

결찰실험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