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갑상선

[ thyroid gland , 甲狀腺 ]

요약 목의 한가운데에서 앞으로 튀어나온 물렁뼈(갑상연골, 甲狀軟骨)의 아래쪽 기도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내분비선으로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한다.
내분비선

내분비선

날개를 편 나비의 모양으로, 나비의 날개에 해당되는 부분을 각각 우엽(右葉)과 좌엽(左葉)이라 하며, 동체(胴體)에 해당되는 부분을 협부(峽部)라 한다. 우엽과 좌엽은 소화관의 일부인 인두의 바깥 벽에까지 닿는다. 갈색을 띠며 무게는 30∼60g으로 개인에 따라 약간씩 크기에 차이가 난다. 인체에서 가장 큰 내분비선이며, 정상적인 경우에는 대체로 만져지거나 눈에 띄지 않지만 이상이 생기면 커진다.

갑상선 본문 이미지 1

내부는 단층으로 배열된 원기둥, 육각형 또는 납작한 모양의 선세포(腺細胞)들로 이루어진 구형의 소포(小胞)들이 모인 소엽들로 이루어져 있다. 소포는 지름이 0.1mm도 되지 않는 크기이며, 내부에는 콜로이드 상태의 물질이 있으나 반드시 똑같지는 않다. 갑상선이 분비하는 호르몬티록신이며, 다량의 아이오딘을 함유한다. 인체에 있는 아이오딘의 3/5이 갑상선에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갑상선의 주된 역할은 음식물을 통해 섭취한 아이오딘을 이용해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한 후 체내로 분비하여 인체 내 모든 기관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며, 갑상선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갑상선기능항진증(그레이브스병) 및 갑상선기능저하증(하시모토갑상선염), 갑상선결절 등이 있다.

동물

동물의 갑상선은 개체발생이라는 점에서 보면 인두(咽頭)의 상피가 복부의 정중선(正中線) 위 제1아가미줄 가까이 함입(陷入)한 것이다 또 계통발생이라는 점에서 보면 기원은 원색동물(原索動物)인 활유어(창고기)나 우렁쉥이, 원구류의 유생 등에 있는 내주(內柱)로 보인다.

조류와 양서류의 갑상선은 좌우 쌍으로 되어 있으나, 포유류와 파충류는 쌍으로 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경골어류처럼 종류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산재해 있는 것도 있다. 그러나 구조는 원칙적으로 동일하며, 기본적 구성요소는 크고 작은 여포(瀘胞)이다. 여포 사이의 결합조직에는 혈관이 분포되고, 갑상선 호르몬은 그 혈관 내의 혈액에 방출되어 보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