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의 도수와 퍼센트의 관계

술의 도수와 퍼센트의 관계

작성일 2003.06.29댓글 3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술을 보면 알콜 함량이

퍼센트로 표시되어 있는데

사람들은 도수로 얘기합니다..

도수와 퍼센트가 개념이 틀리다고 하는데..

어떻게 틀린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술의 강도는 도수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도수는 일정한 물에 섞여 있는 알코올 함유 농도의 비중을 말하는 것이죠.

즉 술 속에 들어 있는 에틸 알코올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알코올분의 표시방법은 나라마다 약간씩 다르나 대체로 15에서 용량 100분 중에 함유된

에틸 알코올의 용량을 말합니다. 즉 용량 퍼센트(Volume by Percent)이죠.

따라서 퍼센트의 숫자에 도를 붙혀 알코올분을 표시하며 40도 혹은 40% 라고 하는 것은

알코올분이 40/100 이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프랑스의 게이 류색(Gay Lussac)이라는 사람이 고안한 도수 측정 방법으로서 우리 나라를

비롯해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러시아 등의 국가에서 같은 방법의 퍼센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미국은 술의 강도 표시를 할 때 프루프(Proof)단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온도 60 °F(15.6℃)의 물 0에 에틸 알코올 200을 프루프로 계산합니다.

쉽게 말하면 우리 나라에서 사용하는 도수의 배가 미국의 프루프입니다.

그러므로 1프루프는 우리 나라에서 0.5도이며 86프루프의 위스키는 우리 도수로 43도가 되는 것이죠.

즉, 도수 = 퍼센트(%) = 1/2 프루프(Proof)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흔히 도수와 퍼센트(%)를 혼용해서 사용합니다.

 

같은 개념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고 대다수 많은 사람들이 같은 뜻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수와 퍼센트는 완전히 다릅니다.

 

퍼센트(%)는 물과 에틸알콜의 합에서 에틸알콜이 차지하는 비중을 100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예를 들어 25%라고 한다면, 물 75%에 알콜이 25% 들어 있는 것으로 전체 100중에서 알콜이 25가 있다는 뜻이죠.

 

하나 더 예를 들면, 물 50%와 알콜 50%가 들어있다면, 당연히 50%가 되는 것이지요...

 

도수는 조금 다릅니다.

 

에틸알콜 이외의 다른 이물질에 대한 알콜의 비중을 비율로 나타내어 100분율 단위에 도수를 붙인것입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 말한 25%의 비교하여 말씀드립니다.

 

알콜이외의 다른 이물질이 75%이며 알콜은 25% 입니다. 이것의 비율은 75:25 즉 3:1이 됩니다.

 

즉, 물에 대한 알콜의 비율은 0.3333........... 이되며, 이것을 도수로 환산하면 100을 곱하여, 33.333333...... 이라는 도수가 나옵니다.

 

예전에 있었던 25%짜리 소주를 33도 라고 표현하신 것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이렇게 다른것이죠.

 

50%의 소주는 물과 알콜의 비율이 50:50으로 1:1 입니다.

 

당연히 도수로 따지면 100도가 되는 것이죠.....

 

러시아 술, 보드카중에서 가장 도수가 높은 것은 400도 짜리가 있습니다.

 

퍼센트(%)로는 도저히 답이 나오지 않는 수치가 되죠....

 

이것은 물 1에 대한 알콜이 4... 즉 물보다 알콜이 4배가 더 들어 있다는 개념이 됩니다.

 

이것을 퍼센트로 환산을 하게 되면, 전체 용량(물+알콜=5) 중에서 알콜(4)이 차지하는 백분율.....

 

즉 80%짜리 술이 되는 것이구요...

 

300도 짜리 술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75%짜리 술이 됩니다...

 

언제부터인가 모르게 사람들이 도수와 퍼센트가 같다고 생각하여 혼용하고 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모르겠지만, 사람들은 술의 알콜 단위를 도수로 표현하지 않습니다.

 

도수와 퍼센트는 다름에도 불구하고, 술병에 표시된 퍼센트(%)를 도수 인냥 그렇게 부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도수와 퍼센트가 같다고 생각하여 모두 그렇게 표현하고 사용한다면,

 

같아 질 것입니다.

 

지금도 대부분 같다고 표현을 하고 있구요...

 

하지만, 원래의 의미를 헤깔린다는 이유로

무지함을 일깨워주는 것이 귀찮다는 이유로

그냥 똑같다고 생각하고 그렇게 표현하라고 인정해버리는

원래 의미를 없애고 바꿔버리는 이런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1) 뽀너스~

 

국어시간에 배운 몇일과 며칠은 분명 그 쓰임은 달랐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헤깔린다는 이유로 며칠로 통일해 버렸습니다.

무지함이 일궈낸 성과가 아닐 수 없습니다.

 

알콜의 도수와 퍼센트도 같은 의미로 발표할 수 있겠죠....

결국은 무지함이 일궈낸 여러 성과중의 하나가 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글을 남겨 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윗 답변들을  읽고 많이 알았습니다.

 

그런데 조금 어렵게 쓰여 있어서 간단하게 요약을 해 보았습니다.

 

소주 도수를 20도라고 가정을 한다면,

 

물80%, 알코올20%이겠지요.

(미세 첨가물은 제외, 용량 퍼센트)

 

하지만 우리가 대부분 퍼센트라고 하는 것은 무게를 말하는겁니다.

 

따라서. 알코올 비중이 약 0.79이므로

 

무게의 비율이 물은 84%, 알코올은 16%가 되겠지요.

 

따라서 소주 20도를 100g을 먹는다면  알코올 16g을 먹게 되는것이지요.

 

 

많은 태클을 환영하지만, 답변은 하지 안겠습니다. ^^

술의 도수와 퍼센트의 관계

... 즉 속에 들어 있는 에틸 알코올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위스키는 우리 도수로 43도가 되는 것이죠. 즉, 도수 = 퍼센트(%) = 1/2 프루프(Proof)입니다.

당뇨와 술의 관계

... 안쓰러워하며 , 알코올과 당뇨의 관계를 찬찬히 함께... 말초혈당측정기로 잰 응급 혈당치가 25밀리그램퍼센트... 약물 복용중엔 금주한다 도수 높은 술은 희석해서 마신다...

술은 살찌나?

... 농도에 관계없이 계속 산화 연소하면서 에너지를... 주정인데 퍼센트가 아닌 도수가 흔히 쓰인다. 술의 온도를... 술이 건강상에 미치는 영향은 자체의 해와, 술을...

술마시고 나면 왜 구토증세가 보일까요?

... 이러한 도수는 일정한 물에 섞여 있는 알코올 함유 농도의 비중을 말하는 것이다. 즉 속에 들어 있는 에틸... 즉 용량 퍼센트(Volume by Percent)이다. 따라서 퍼센트의 숫자에...

술은 극성인가 무극성인가

... (아마 소주나 양주가 무극성이라면 되겠지만요..) 도수나 혹은 퍼센트가 낮을수록 물의 비중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의 극성이 높은 관계도수나 알콜 함량이 낮을수록...

차 값 과자 값 할 때 띄어쓰기

... 꽃값[명사] [같은 말] 해웃값(기생, 창기 따위와 관계를... 계급값 (階級-)[명사] <수학> 도수 분포표에서, 각 계급의... 질량 퍼센트에 100을 곱한 값. 불포화 결합을 가진 유기...

와인용어 모음

... 전체 양에 들어 있는 알코올의 비율, 퍼센트로... 알코올 도수, 포도농장의 총 생산량 그리고 재배 방식... 조화로운 관계를 묘사. 비슷한 스타일의 와인 두개 중에서...

이소판올?

1)이소판올은 비중이 0.7863인데요, 물과 희석할때 이소판올의 비중에 관계없이... 알면 해결될것같네요 보통 알콜함량(도수) 같은경우엔 부피/부피 퍼센트를 사용한다는것만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