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옛날왕국 관직좀.....내공 30

중국의 옛날왕국 관직좀.....내공 30

작성일 2004.02.16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저기요......

중국 옛날관직가튼거여

예를들어 승상 - 재상 - 영의정

순으로 중국관직 하는일 우리나라에선 어떤관직이었는지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저도 잘 모르 내용이지만, 블로그에 괜챦은 자료가 있어 올립니다.
---------------------------------------------------------------------------------

중국 관직의 설명 [ 출처 : 북룡표국의 설향]


간의대부(諫議大夫)
황제에게 간하고 정치의 득실(得失)을 논하던 관원. 진(秦)나라 때 간대부 (諫大夫)라 부르던 것을 후한 시대에 간의대부로 개칭하여 황제의 고문과 응대 등을 맡았다.

거기장군(車騎將軍)
기병을 통솔하는 무관직. 원래 한무제(漢武帝)때 비롯된 공신(功臣)의 명호 (名號)였으나 후한시대에 표기장군(驃騎將軍) 다음가는 무관직이 되었다.

공부시랑(工部侍郞)
공부는 산택(山澤),영조(營造),공장(工匠)등을 맡아 보는 관청. 시랑은 이관청의 두번째 벼슬이다. 원래 임시직이었으나 수나라 때 상설 기관으로 설치되었다.

광록대부(光祿大夫)
조정의 고문직. 진나라 때 9경(卿)의 하나인 낭중령(郎中令)의 속관으로 설치된 것이 한무제 때 광록훈(光祿勳)의 속관으로 마련되었다. 종2품의 관직 으로 실권은 별로 없었다.

교위(校尉)
둔병(屯兵)을 맡아 보는 관직. 한무제 때 성문교위(城門校尉)와 사례교위(司隷校尉)의 두 교위가 처음 생겨 녹봉 2천석을 받았는데, 그 후 차차 무관직으로 변하여 한직(閑職)이 되었다.

기도위(騎都尉)
광록훈(光祿勳)에 속하여 황제를 호위하는 기병의 관직. 한무제 때 비롯되었는데 훈공에 따른 일종의 세습직이었다.

낭관(郎官)
각 관청에서 문서의 일을 맡아보던 관직. 한나라 때에는 시랑(侍郞)과 낭중 (郎中)을 낭관이라 했으나, 당나라 이후 낭중과 원외랑(員外郞)을 낭관이라 칭했다. 한나라 때에는 상서(尙書;장관)의 보좌를 겸했고 후에 각 사(司)의
직무를 주관했다.

녹상서사(錄尙書事)
궁정의 문서를 맡던 관직. 후한 장제(章帝) 때 태부(太傅)와 태위(太尉)에게 이 직무를 겸하게 하는데서 시작되어 화제(和帝) 때 이후 상설 기관이 되고,그 관위(官位)는 삼공(三公) 위에 있었다. 즉 어린 황제가 즉위할 때마다 그를 대신하여 집정하고 재상직을 겸했다.

대사농(大司農)
중앙 관직인 9경(卿) 중의 하나. 현재의 재무장관에 해당하는 높은 관직으로서 녹봉은 쌀 2천 석이었다.

대사마(大司馬)
원래 대장군(大將軍)과 표기장군(驃騎將軍)에 주어지던 칭호. 한무제 때 그 지위는 승상(丞相) 위에 있었다. 그 후 애제(哀帝) 때 승상의 이름을 없애고 대사도(大司徒)라 칭했으나 여전히 대사마의 지위는 대사로 상위에 있고 대 사공(大司公)과 함께 삼공(三公)이라 칭하여 최고의 정무장관(政務長官) 위 치에 있었다. 그 후로 후한 시대에 이르러서 대사마를 태위(太尉)로 개칭하 고 다른 두 관원, 즉 사도(司徒), 사공(司空)과 함께 삼공이라 칭했다.

대장군(大將軍)
최고의 무관직. 후한 때 이 직위가 처음으로 설치되어 삼공(三公)보다 상위 에 놓았으나 수나라 때에 이르러 한직이 되었다.

대홍로(大鴻로)
외국의 빈객(賓客)과 귀순한 외이(外夷)를 맡아보던 관직. 원래 전객(典客)이라 하던 것을 한무제 때 이 이름으로 고쳤다.

도독(都督)
위문제(魏文帝) 때 각 주(州)의 군사와 자사(刺史)의 관원을 통활하기 위해 설치한 관직. 그러나 후대에 이르러서는 특정한 관명이 아니라 산관(散官)의명칭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독우(督郵)
한나라 때 태수(太守),군수(郡守) 등의 보좌관으로 설치된 관직. 각 현(縣)
의 행정 감독을 주 임무로 했으나 당나라 때 폐지되었다.

무위장군(武衛將軍)
궁정의 경비를 주임무로 하는 무관직. 즉 무위영(武衛營)의 대장으로서 한나라 시대에 비롯 되었다.

미인(美人)
한나라 시대의 여관(女官) 계급. 녹봉은 2천 석으로서 명나라 때까지 존속하다가 폐지되었다.

별가(別駕)
각 주(州) 자사(刺史)의 보좌관. 한나라 때 시작되었는데 언제나 자사를 따라다니며 주내를 순찰했기 때문에 이 명칭이 생겼다. 정식 명칭은 별가종사사(別駕從事使)로 한때 장사(長史)로 명칭이 바뀌기도 했다.

복야(僕야)
관청의 주인, 또는 장(長)의 직위. 진나라 때 시작되어 한나라로 계승되어 군인, 궁인(宮人)상서(尙書), 박사(博士) 등에 모두 복야가 있었으나, 그 후상서복야 외에는 모두 폐지되고 이것만이 전문직이 되었다.

봉거도위(奉車都尉)
천자 측근에서 수레에 배승(陪乘)하는 무관직. 한무제 때 시작되었는데 녹봉은 2천 석이었다.

비서랑(秘書郞)
궁중의 도서 및 문서를 담당하던 관직. 비서감(秘書監), 비서령(秘書令), 비서승(秘書丞) 등의 명칭으로 개칭되기도 했는데 명문 자제 중에서 등용했다.

영군(領軍)
호군(護軍)과 함께 근위병을 지휘하던 무관직. 위나라 조조(曹操)가 처음으 로 이 관직을 설치했다.

의랑(議郞)
낭중(郎中)에 소속되어 평의(評議)에 참가한 고문직. 진나라 때 폐지되었다.

자사(刺史)
칙령으로 각 주군(州郡)의 장(長)을 감찰하던 관직. 한나라 초에 설치되었으며, 후한 시대에 이르러 지방 행정의 변천에 따라 그 호칭이 여러 번 변했다
. 위진(魏晋) 시대에 자사는 주목(州牧)과 동격이 되어 지방의 최고 행정관이 되었다.

장사(長史)
진한(秦漢) 때 승상(丞相) 및 태위(太尉)의 속관으로둔 관직. 또 이와는 별도로 진나라 때의 지방관으로서 군수의 속관으로 이 관직이 설치되기도 했다. 그리고 한나라 때에는 변경에 있는 군의 군승(軍丞;부군수격)으로 이 직
위를 두었다.

전농(典農)
후한 말기에 중원(中原)에 두었던 관직. 식량의 징수와 감독을 담당했는데 대사농(大司農) 휘하에 있었다.

전장군(前將軍)
대장군에 속한 일곱 장군의 하나. 선봉을 맡은 장군으로 녹봉은 2천 석이다.

절충교위(折衝校尉)
징발된 군사를 맡아보던 무관직. 적벽대전(赤壁大戰) 때 조조의 장수 악진(樂進)이 절충장군이 된 데서 비롯된 관직이다.

종사(從事)
보좌관에 대한 총칭. 한나라 때 자사(자사)의 속관이던 별가(別駕)ㄳ치중(治中)공조(功曹) 등이 모두 종사였고, 또 각 부(部)군(郡)국(國)에도 종사가 있었다.

종정(宗正)
진한(秦漢)때의 9경(卿)의 하나. 황실에 관한 제반 사무를 통할하던 벼슬
로 원칙적으로는 황족(皇族)이 이에 임명되었다. 진(秦) 때에는 외척도 그의 통할을 받았다.

좌장군(左將軍)
대장군에 속한 일곱 장군의 하나. 녹봉은 2천 석이었다.

주부(主簿)
정부 각 부처의 문서와 부적(簿籍)을 맡아보던 관직.

중랑(中郞)
중랑장의 별칭.

중랑장(中郞將)
진한(秦漢) 때 궁중의 경비를 맡던 낭중령(郎中令)에 속한 오관서(五官署)좌서(左署)우서(右署)의 대장. 지위는 장군 다음가는 것으로서 중랑이라고도 불렀다. 후한말에 이르러 동서남북의 중랑장이 증설된 때에 호분(虎賁)과 사흉노(使匈奴)의 중랑장이 있었다.

중서(中書)
한나라 무제 때 궁중의 의전(儀典)과 문서를 맡아보기 위해 설치한 관직. 처음에는 환관 중에서 임명했으나 후에 중서령(中書令)이라 개칭하여 궁중의사무에 관한 일을 통괄하게 하고 환관의 임명을 중지하고 일반인으로 이 직
책을 맡게 했다. 위(魏)나라 문제(文帝) 때 중서성(中書省)을 두어 중서감(中書監)과 중서령(中書令)의 직제를 마련하여 궁중의 기밀 문서를 맡아 보게했다.

집금오(執金吾)
궁성 주위를 순시하며 경비를 맡던 무관직. 녹봉은 2천 석이었다.

태복(太僕)
왕명의 전달과 시종직을 주무로 하던 관직. 진한(秦漢) 시대부터는 9경(卿)의 하나로서 천자의 어가(御駕)와 어마(御馬)의 관리를 맡는 직책으로 바뀌었다.

태부(太傅)
천자의 교육을 담당하던 관직. 주(周) 시대에 태사(太師)ㄳ태부ㄳ태보(太保)의 삼공(三公) 중 두변째 고위직이었으나 진(晋) 시대 이후 삼사(三師)로 개칭되어 명예직으로 바뀌었다.

태사(太師)
천자의 교육을 담당하던 최고의 관직. 주(周) 시대의 삼공(三公)의 하나로 설치되어 주로 지육(智育)을 담당했다. 진(晋) 시대 이후 삼공은 삼사(三師)로 개칭되어 명예직으로 전환 했으나, 어느 왕조에서나 최고의 현직으로 예 우 했다.

태상(太常)
9경(卿) 중의 하나로서 의전(儀典)을 맡아 보던 관직.

태수(太守)
지방의 군(郡)을 다스리던 관직. 원래 군수(郡守)라 칭하던 것을 한나라 때 이 이름으로 고쳤다. 그 후 역대 왕조가 이 직책을 두었으나 송나라 이후에 는 군을 부(府)로 개칭했기 때문에 지부(知府)로 명칭을 바꾸었다.

태위(太尉)
사마(司馬) 항을 참조할 것.

태자태사(太子太師)

태자를 보도(輔導)하는 직책을 맡아보던 관직. 한나라 시대에 시작된 것으로서, 태자태부(太子太傅),태자태보(太子太保)와 함께 동궁 삼사(東宮三師)로
불리었다. 그러나 나중에는 단순한 예우용 직함으로 변해 태자와는 아무 관도 없게 되었다.

태중대부(太中大夫)
궁중의 의론(議論)을 맡아보던 관직. 진(晋)나라 때 비롯되었으나 수나라 이후부터 단순한 산관(散官)이 되고 말았다.

표기장군(驃騎將軍)
대장군 다음가는 무관직. 일곱 장군 가운데 우두머리로서 녹봉은 4천 2백 석이었다. 수나라 때는 응양랑장(膺揚郞將)으로 명칭이 바뀌어 차차 권한이 떨어지다가 나중에는 무산계(武散階)의 명칭으로 화했다.

하남윤(河南尹)
수도를 다스리는 행정관. 하남은 수도 낙양(洛陽)을 말하고 윤은 행정 책임 자를 가리킨다.

행군사마(行軍司馬)
장군의 보좌관. 한나라 때 설치되어 부내(府內)의 사무를 총괄하는 한편 출정 때는 참모가 되어 장군의 부직(副職)이 되었다. 별명을 군사마(軍司馬)또는 군사(軍司)라 칭했으며, 당나라 시대 이후에는 출정할 때 장수(將帥)
및 절도사(節度使) 밑에 반드시 행군사마가 있어 군대의 요직을 차지했다.

현승(縣丞)
현령(縣令)의 보좌관. 현은 군(郡) 다음가는 행정 구역으로 한 군에 10정도 의 현이 있었다. 그 장관을 현령, 그 다음을 현승이라 했다.

현위(縣尉)
현(縣)의 치안을 맡아 보던 관직. 후에 전사(典史)로 이름을 바꾸었다.

호분중랑장(虎賁中郞將)
주(周)나라 때 궁중의 근위관(近衛官)으로 출발한 관직. 한나라 때 궁중의 근위관을 호분중랑장이라 일컬었다. 그러나 남북조 시대 이후 이 칭호가 남용되어 무게를 잃어 가다가 당나라 때는 중급 장교정도의 지위로 떨어졌다.

황문상시(黃門常侍)
환관을 가리키는 말. 원래 황문이란 궁문(宮門) 또는 궁서(宮署)를 말하는 것이었으나 후한 시대에 이르러 환관을 가리키게 되었다.

효기교위(驍騎校尉)
무관직의 명칭. 한나라 초에 설치했던 직책으로서 기병을 지휘하는 교위직이었다. 수나라 이후 폐지되었다.

중국의 옛날왕국 관직좀.....내공 30

... 중국 옛날관직가튼거여 예를들어 승상 - 재상 - 영의정 순으로 중국관직 하는일 우리나라에선 어떤관직이었는지좀..... 저도 잘 모르 내용이지만, 블로그에 괜챦은 자료가...

중국, 일본에 대해(내공40)

... 내공냠냠, 잡솔 다신고해요 안녕하세요 ㅎ 중국[中國... 일본의 의식주 문화 - 의: 옛날에 우리나라는 한복이... 류큐왕국유적(2000) 등이 있구요... 음식으로는 제가 아까...

중국 대표음식 조사하는것좀...

... 내공 35 드려요! 음 식 중국의 음식은 그 가지수도 많고 또 무척 기름지다. 자극적인... 죽순은 일종의 식용균으로 중국의 희귀한 산진으로 옛날에는 제왕의 옥선 요리로 되어...

중국 구장산술의내용이뭔가요?(내공5걸음)

... 머리말에 "옛날에 복희 (중국 최초의 전설적인 황 제)는... 때문에 혼란스러웠고 이점이 동양수학이 크게... 전한(前漢)의 무제 시대에 균륜관이라는 관직이 만들어졌는데...

고대 중국

... 예를들면 중국의 만리장성 이슬람의 에루살렘?? 뭐 이런것들을 알려주셨음 합니다 질문이 몇가지 안되지만 꽤 긴 답변을 예상합니다... 내공은 50올리겠습니다 수고하세요...

중국 전체역사를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요

... 조각한 중국의옛날의 서찰(書札)의 파편이 발견되어 나왔다. 고대중국문자의... 이들의 각 세포는 겨우 30마일에서 60마일 사방, 즉 도보나 차로 1,2일 이내의 곳을 활동의...

중국,영국,필리핀,칠레,태국

중국 영국 칠레 태국 필리핀 이 나라들을 (1)위치 (2)인구 (3)크기 (4)역사 (5)우리나라와의 관계 이거로 써주세요 내공은 최대한 많이걸께요 내용은 한.... 한 나라당 A4용지...

사극관련 실제역사 질문(내공 걸었소)

... 그럼 이와같이 옛날에는 1960년 후반의 영화 실미도의 684 부대처럼... 걔네는 중국이고 하여튼 뭔가 다른거 같기도 하네요 >고려시대는 조선과 다르게 여성의 활동이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