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국가

아랍국가

작성일 2005.02.23댓글 5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아랍국가는 나라가 아니고 아랍어를 쓰는 나라를 아랍국가라고 하나요?
예를들어 우리나라가 아랍어를 쓴다면 우리나라도 이름은 있지만 아랍국가라고 불리기도 하는건가요???????

아랍어를 쓰는사람을 아랍인이라고 하잖아요.

근데 아랍국가도 아랍어를 쓰는사람들이 있는 국가를 아랍국가라 하는건가요?


#아랍국가 #아랍국가 국기 #아랍국가들 #아랍국가연맹 #아랍국가 지도 #아랍국가 종교 #아랍국가 특징 #아랍국가 팔레스타인 #아랍국가 여행 #아랍국가 식민지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 답변은 다소 오류가 있을수도 있으니
100% 신뢰하지는 마시고
추후 올라오는 답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보다 더 개선된 답변이 올라오기를 적극적으로 바랍니다.

이는 어떻게 보면 Nationalism과 연관이 있을 법도 한데.....
'민족'을 구분하는 외적 객관적 기준이 명확한 것이 아니고.
외적 요소를 접하는 개인의 주관에 의하여 좌지우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입하면
'아랍(Arab)'이라는 명칭은 아라비아 인, 아라비아어를 지칭한다고 하며,
따라서 일정한 지역에 일정한 문화를 공유하는 집단을 지칭하는 명칭이라 보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여기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것은 아랍어를 쓰는 국가를 아랍국가라고 하지 않고,
파키스탄부터 터키반도와 북아프리카연안의 모로코까지의 지역 내의 국가와 민족들을 아랍인, 아랍국가라고 하며,

이 지역의 사람들이 대부분 '아랍어'라는 언어를 쓰기 때문에,
'아랍어'라는 명사가 등장한 듯 합니다.

이 지역은 고대에 시나이 반도를 중심으로 짧게 2-3개 문화권에서 많게 5개 문화권으로 나눌 수 있지만,(여기에 대해 이견이 많으실 것으로 압니다.)

서기 7세기 이후 무섭게 팽창한 이슬람제국에 의해 종교를 통한 강한 민족주의 가 태동하게 됩니다. 물론 근대적 의미의 민족주의가 아닌 종교를 통한 공통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되는 것이지요....

이슬람교가 쉽게 전파된 지역은 따지고 본다면 그 이전에도 기후 식생에 의해 서로 비슷한 풍습과 종교사조(유대교, 그리스도교, 조로아스터교)를 가지고 있었지요...그것이 또한 비슷한 사조였던 이슬람교에 의해 이 '아랍'이라고 하는 지역에서는 별 강력한 저항 없이 통일되었지요...

그러나, 유럽문화권과 인도문화권 등 이질문화권에 이르러서 충돌하게 되지요...
그리고 '성전'을 중요시하는 이슬람교의 교리에 따라 이 지역은 위의 다른 많은 문화권과 충돌하고 그러면서 강한 동질성과 정체성을 갖게 되지요...

거기다가, 근대 제국주의 침략과 '석유'의 개발로 자연자원을 바탕으로 또 한번 결속력이 강해지지요....바로 석유수출국기구와 아랍민족주의이지요...

이렇게 '아랍'지역은 지역적인 특수성에 종교적인 요소가 강하게 적용되어 하나의 문화권을 형성해 온 것이라 보는 것이 올바를 견해라 생각하기 때문에...

'아랍어'의 사용여부가 아랍국가를 결정하는 절대적인 요소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들에게는 '이슬람교'라는 절대적인 사조를 받아들이는가에 따라 '아랍인'의 정체성여부를 확인하겠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우하하 .

이슬람교를 숭상하는 사람들은 아랍어를 배웁니다.

하지만 아랍어는 배우면 되죠..... ;;;;

아랍인들은 이슬람교 숭배자를 가르킵니다.

하지만 언제 부턴가. 아랍인들은 자기만의 언어를 사용했고

그 이름이 지금의 아랍어 인거죠.

아랍. 이슬람교를 말하는 것입니다.

아랍인. 풀면 이슬람인 이죠.

이슬람이 아랍어로 "복종" 이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이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터키가 그 경우이죠. 터키는 지금 라틴어를 쓰지만 국민의 90% 이상이 이슬람교인입니다. 또 레바논에 경우 국민의 38%가 기독교인이지요. 그리스의 경우 터키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이슬람교를 믿는사람이 있지 않습니까? 하지만 그사람들은 아랍어를 쓰지 않습니다. 꼭 아랍어를 쓰는 국가가 아랍국가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종교랑은 상관없습니다. ㅡ,.ㅡ;

모든 아랍국가는 아랍민족으로 이루어진 국가입니다.

투르크나 다른 종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랍국가의 기본적인 요건은 아랍민족에 의합니다.

이슬람교가 아랍 사회의 국교가 된건 모하메드가 아랍민족주의와 이슬람교를 결합시켜 전파시켰기 때문입니다. ㅡ,.ㅡ;

이슬람교 성립 이전에도 아랍민족은 존재했습니다.

또한 아랍국가는 공통적으로 아랍어를 사용하는데, 이또한 이들이 같은 민족이기 때문이지 그네들이 아랍어를 쓰기때문에 아랍민족이 된게 아니란 말입니다...
언어때문에 그들을 아랍인이라 부른다는 건 주객이 전도된거죠. ㅡ,.ㅡ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아랍 국가는 간단히 말하자면 3가지의 요소가 충족이 되어야 합니다.

1. 민족적으로 아랍인이여야 한다.
2. 언어는 아랍어를 사용해야 한다.
3. 종교적으로 이슬람교를 믿는 국가여야 한다.


그러므로 님께서 궁금해 하신 점을 살펴 보자면
우리나라가 아랍어를 쓴다고 하여도 민족적으로 아랍인이 아니며 종교적으로
이슬람교를 믿는 국가가 아님으로 아랍국가라고 볼수가 없겠죠.^^
그리고 아랍어만 쓴다고 아랍인이라고 볼 수 없구요~

아랍국가는 1945년 3월 창설된 '아랍연맹'의 가맹국 22개국으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 지도에서 시리아 밑에 요르단이 빠져있네요~
이렇게 22개국을 아랍국가로 본담니다~~~ㅎ^^

남미국가들과 아랍국가들은 전체적인...

민간에서랑 정치에서 두가지 경우 모두 알고싶어요 <답변> 남미 국가들과 아랍 국가들 간의 관계는 정치적인 측면과 민간적인 측면에서 모두 다양합니다. 정치적인 측면에서는...

아랍 국가

... 아랍 국가 20개국 가셨다고 하셨던데 나라이름 쭉 적어주실수 있으신가요?(아랍어 안쓰는 터키,우즈벡,이란,파키스탄,아프 가니스탄 그리고 북아프리카는 제외인가요?) 2....

아랍 국가

... 잔지바르: 1960년대 초반까지는 아랍인들이 통치하던 아랍국가였지만. 다수 흑인들이 아랍인들과 인도인, 이란인들을 쫓아내고 탕가니카와 통합한 덕택에 현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