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중동?국가 질문

아랍?중동?국가 질문

작성일 2021.11.30댓글 1건
    게시물 수정 , 삭제는 로그인 필요

안녕하세요 Great King Tiger님 ! 예전에도 한번 이집트에 대해 1:1질문을 했었는데 그때 너무 구체적이게 잘 답변 해주셔서 이런쪽에 또 궁금한점이 생기다보니깐 또 질문 드립니다!!감사합니다!!


아랍어에도 푸스하 방언 암미야 방언이 있다는걸 알게되었습니다 그럼 아랍어가 공용어인 이집트, 아랍에미레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모로코,예멘 등등.. 참 많죠


1.그럼 이렇게 아랍어만 쓰는 사람들이 모이면 문제없이 말이 잘 통하나요?


음..그리고 뭐 유럽,중동국가들이 보기엔 베트남이나 한국이나 일본 중국 태국 이런 아시아사람들을 보면 다 비슷하게 생겼는데(뭐 한국인인 저희가 보면 다르지만요)

2. 아랍국가 사람들도 우리눈엔 다 비슷하게 생겼는데 이들도 서로 보면 다른나라 사람인걸 아나요?아랍국가 기준으로 말고더 크게 보면 중동국가 사람들이 서로 보면 다른나라 사람인걸 알까요?

3.예멘이랑 또 어디였지?..할튼 아랍쪽에는 여행금지국가가 예멘이랑 ..또 어디하나 있는거같던데 아무튼 여행금지국가가 몇개 있는걸로 압니다. 그러면 아랍국가도 예멘을 못가나요? (예를들어 이집트 사람이 예멘을 간다거나 모로코 사람이 예멘을 간다거나 이렇게요)


4.칸두라..?탄두라..?그 하얀색 원피스?? 같은 옷은 모든 아랍국가가 입는 옷인가요?



profile_image 익명 작성일 -

에서 중동, 이슬람, 아랍어 관련 답변을 주로 달고 있는 swastika3입니다.

참고로 전 중동 지역학/아랍어 전공자이며 전공을 살려 중동/아랍 19개국에서 21년 이상

공관/대기업/개인 사업 경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 아랍?중동?국가 질문

안녕하세요 Great King Tiger님 ! 예전에도 한번 이집트에 대해 1:1질문을 했었는데 그때 너무 구체적이게 잘 답변 해주셔서 이런쪽에 또 궁금한점이 생기다보니깐 또 질문 드립니다!!감사합니다!!

아랍어에도 푸스하 방언 암미야 방언이 있다는걸 알게되었습니다 그럼 아랍어가 공용어인 이집트, 아랍에미레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모로코,예멘 등등.. 참 많죠

1.그럼 이렇게 아랍어만 쓰는 사람들이 모이면 문제없이 말이 잘 통하나요?

-> 다 통하는 건 아닙니다. 푸스하 표준말을 전부 구사하면 문제 없이 말이 통하는데

아랍어를 모국어로 하는 국가들은 전부 공식 문서나 방송에서는 푸스하 위주로 합니다.

그러나 문맹률도 있고 과거 이슬람이 팽창하면서 이 종교로 복속된 국가들의 언어가 아랍어가

전파되면서 현재의 다양한 암미야 방언들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 암미야만 할 줄 아는 사람들이 예를 들어 사우디 걸프 아랍어 방언과

튀니지 다리자 방언 아랍어를 쓰는 아랍인들이 자신들의 방언끼리 이야기하면 서로 대화가 안 됩니다.

그래서 100% 문제없이 대화가 이뤄진다고 할 수 없습니다.

음..그리고 뭐 유럽,중동국가들이 보기엔 베트남이나 한국이나 일본 중국 태국 이런 아시아사람들을 보면 다 비슷하게 생겼는데(뭐 한국인인 저희가 보면 다르지만요)

2. 아랍국가 사람들도 우리눈엔 다 비슷하게 생겼는데 이들도 서로 보면 다른나라 사람인걸 아나요?아랍국가 기준으로 말고더 크게 보면 중동국가 사람들이 서로 보면 다른나라 사람인걸 알까요?

-> 모르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여권상 국적이 명기되어 있고 이집트 인들은 아랍어 짐 발음을 김발음으로

합니다. 그래서 이집트 인들은 여권이나 신분증 안 보여줘도 이들의 발음으로 이집션 아랍어를 쓰기에

이집트인이라고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개 영어를 안 하고 아랍어랑 불어를 주로 쓰면 튀니지/알제리/모로코 등지에서 온 사람들이라

구분됩니다.

원래는 아랍인이 과거 하나의 큰 이슬람 아랍 제국이었습니다. 2차대전 이후에 여러 부족들이

연합국의 승리에 기여하면서 댓가로 현재 각자의 국가들을 세운거지 인종적/어학적으로는 같은

민족 맞습니다. 그러나 대개는 저런 구분 외에는 국적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외관상으로만 판단시)

하지만 서로 이야기를 하다 보면 국가가 다르다는 점과 자신들의 공통 관심사가 국가가 다르면

다를 수 밖에 없기에 이런 부분에서 티가 나고 알아차리는 건 많습니다.

3.예멘이랑 또 어디였지?..할튼 아랍쪽에는 여행금지국가가 예멘이랑 ..또 어디하나 있는거같던데 아무튼 여행금지국가가 몇개 있는걸로 압니다. 그러면 아랍국가도 예멘을 못가나요? (예를들어 이집트 사람이 예멘을 간다거나 모로코 사람이 예멘을 간다거나 이렇게요)

-> 이라크와 시리아도 여행 당분간 못갑니다. 그런데 아랍 국가들의 경우에도 예멘을 여행 못가게 하는 국가

들도 있고 사우디가 이란과 대리전을 수행하기 위해 군사력을 걸프 블록 군대를 모아 예멘으로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위험한 지역에서는 운항을 하지 않는 국가도 있습니다.

내전이 발발하면 공항 운영 자체를 정상적으로 할 수 없기에 여행 금지를 별도로 이 국가들이 안해도

비행기 자체가 못들어가서 잠정 중단 및 보류되는 게 많다고 보셔야 합니다.

만에 하나 한국인이 예멘이나 기타 시리아나 이라크를 들어갈 수 있는 아랍국가로 가서 현지

입국을 했다면 귀국하자 마자 한국의 법령에 위반했기에 처벌받습니다.

4.칸두라..?탄두라..?그 하얀색 원피스?? 같은 옷은 모든 아랍국가가 입는 옷인가요?

-> 대부분 국가들에 다 칸두라 존재합니다.

그러나 세속주의 국가에서는 칸두라를 전통 행사 때만 입고 그냥 사복 입는 경우들도 많고

베드윈들 중에서는 칸두라와 서양 의복을 혼용해서 입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대부분 아랍 국가들에 존재한다고 보면 됩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답변확정 부탁드립니다.